제주 4·3 사건 유적

제주에서 일어난 비극, 제주 4·3 사건

컨텐츠 정보

본문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한 우리 국민들은 새로운 정부를 세우려는 희망에 부풀어 있었어요. 하지만 그 희망은 오래 가지 못했어요. 미국과 소련이 대립하는 가운데에 38도선을 기준으로 한반도 남쪽은 미군이, 북쪽은 소련군이 통치하기 시작했거든요. 또 미국과 소련 정부 수립을 놓고 생각이 나뉘었지요.


한반도 남쪽을 미군이 통치하는 미군정이 실시되자 제주도민들은 이제 세상이 바뀔 거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미군정은 조선 총독부의 경찰 기구를 그대로 두고 친일파 경찰들을 통치에 이용했어요. 그러자 제주도민들의 실망감은 커졌지요. 게다가 극심한 가뭄으로 식량이 부족하고, 전염병까지 돌아 제주도민들은 힘겨운 생활을 해야 했어요.


1947년 3월 1일, 제주의 북초등학교에서 3·1절을 기념하는 집회가 열렸어요. 제주도민들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했어요.


“3·1 정신을 이어받아 통일 국가를 세우자!”


“친일 경찰 물러가라! 식량 문제는 우리 손으로!”

평화롭게 진행된 거리 행진이 끝나갈 무렵 생각지도 못한 일이 벌어졌어요. 어린 아이가 경찰의 말발굽에 치여 넘어졌거든요. 그런데 경찰은 사과조차 하지 않고 가버렸어요. 화가 난 제주도민들은 경찰서로 몰려가 거세가 항의했어요. 경찰은 이를 폭동으로 간주했고, 제주 중심지에 있는 관덕정 부근에서 무차별적으로 총을 쏘아댔어요. 이때 6명이 죽고, 8명이 다쳤어요.(3·1절 발포 사건)


제주도민들의 분노는 하늘을 찌를 듯했어요. 3월 10일, 제주도 직장인들 약 4만여 명이 참여한 총파업이 벌어졌어요. 상황이 이렇게 되자, 육지 경찰과 북에서 내려온 청년단체인 서북청년회가 제주도로 들어왔어요. 지금까지 벌어진 일들이 모두 공산주의자들이 선동한 일이라며 이들을 찾아낸다는 이유에서였지요.



4c0ab2095b22a8b9744cabf724df5dd4_1746366002_1675.JPG
불타고 있는 제주 마을




그러던 중 유엔(UN)에서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만이라도 총선거를 실시할 것을 결의하면서, 남한만의 총선거 실시가 결정되었어요. 그러자 1948년 4월 3일, 한라산 오름에서 봉화불이 타올랐어요. 남한만의 총선거를 반대하는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무장 봉기를 일으켰어요.


이들 무장대는 경찰서를 습격하고 서북청년회를 공격했지요. 이에 맞서 미군정은 경찰과 서북청년회를 이용해 진압하기 시작했어요. 육지의 군인들도 제주도에 들어오기 시작했어요. 무장대와 미군정 사이에 평화 협상이 진행되었으나 제대로 되지 않았지요.

1948년 5월 10일, 남한만의 총선거가 실시되었어요. 많은 수의 제주도민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았어요. 한반도를 분단된 나라로 만들 수 없다는 생각에서였지요. 제주도 두 곳 투표구에서 투표자가 과반수를 넘지 못해 무효 처리되었어요.


초대 대통령이 된 이승만은 남한만의 총선거를 반대한 제주도민들을 사회주의 세력으로 간주하고 대대적인 토벌 작전을 펼치기 시작했어요. 더 많은 경찰과 군인들이 투입되었고, 무장대를 무조건 토벌하라는 명령이 떨어졌어요.


1948년 11월, 정부는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했어요. 그리고 사람들을 한꺼번에 죽이는 집단 학살이 시작되었지요.


“해안선으로부터 5km 이상 중산간 마을에 남아 있는 사람들을 모두 폭도로 간주하여 총살하겠다.”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포고문을 발표했어요. 또한 한라산 중산간 마을 사람들에게 해안가로 내려오라는 명령(소개령)을 내렸지요. 그런 뒤 토벌대는 한라산 중산간 지역 마을을 불태우기 시작했어요. 중산간 지역 마을 대부분이 잿더미로 변했지요.

그뿐 아니에요. 한라산에 올라간 무장대를 도왔다며 제주도민들을 이유 없이 죽이기도 했어요. 한편 한라산에서 내려오면 살려주겠다는 토벌대의 말에 1만여 명이 내려왔어요. 하지만 그중 1,600여 명의 사람들이 총살당하고, 형무소에 갇히는 신세가 되었어요. 어른들뿐만 아니라 많은 어린이들도 죽어갔어요. 토벌대뿐만 아니라 무장대들도 경찰 가족 등을 이유 없이 죽였어요.


그런데 이런 상황 속에서도 용기 있게 저항한 사람이 있어요. 바로 문형순 전 성산포 경찰서장 등이지요. 당시 경찰들은 군인, 서북청년회와 함께 무장대를 토벌하라는 명령을 받았지요. 하지만 문형순은 명령을 거부했어요.


“제주도민을 함부로 잡아들일 수 없소. 그들을 왜 함부로 죽인단 말이요. 부당한 명령을 따를 수 없소.”


문형순과 같이 정의를 지키려는 사람들 덕분에 제주도민들은 생명을 지켜낼 수 있었지요. 화북 어느 마을 사람들은 군인들에 의해 불타버린 서쪽 바닷가의 곤을동 마을 사람들에게 집을 짓고 살 땅을 나누어 주기도 했대요. 견디기 힘든 어려움 속에서도 ‘인간다움’을 지켜내려는 사람들 덕분에 제주도 사람들은 희망을 가질 수 있었지요.

제주 4·3 사건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어요.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정도인 2만 5천 명~3만여 명이나 되었어요. 대부분이 민간인이었어요. 1954년 9월이 되어서야 7년여 만에 제주도 사람들은 한라산에 올라갈 수 있게 되었고, 제주도에서 총소리도 멈추었지요.


제주 4·3 사건은 오랫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어요. 제주도민들은 혹여 잘못 이야기했다간 자신들도 폭도나 폭도의 가족으로 몰려 피해를 입게 될까봐 꽁꽁 숨겨왔어요. 제주도민들은 그렇게 깊은 아픔을 가슴에 안고 50여 년의 세월을 살아야 했어요.


하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진실을 알리기 위한 노력을 벌여왔지요. 그런 노력 덕에 2000년 김대중 정부 때에는 ‘4·3 특별법’이 만들어지고,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가 설치되어 정부 차원의 진상 조사가 시작되었어요.


2003년 노무현 정부 시기에는 대통령이 직접 제주도에 내려와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인 사과를 했어요. 국가 폭력에 의해 수많은 제주도민들이 억울한 죽음을 당했음을 인정한 것이지요. 이후 제주 4·3 사건 당시 희생당한 분들의 넋을 달래고,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되새기기 위해 제주 4·3 평화공원이 만들어지고, 기념관도 세워졌어요.



4c0ab2095b22a8b9744cabf724df5dd4_1746366287_0522.JPG
제주 4·3 평화공원



4c0ab2095b22a8b9744cabf724df5dd4_1746366330_2717.JPG
제주 4·3 평화공원기념관




하지만 아직도 제주 4·3 사건은 그 진실이 제대로 알려지지 못한 부분이 있어요. 또 죄 없이 희생당한 분들에 대한 보상 및 명예 회복 등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문제도 남아 있지요.


지금부터 제주 4·3 사건의 유적지를 돌아보며 제주의 아픔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아픔을 넘어 무엇을 기억하고 기념해야 할지 생각해 볼까요? 또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도 살펴보아요.



4c0ab2095b22a8b9744cabf724df5dd4_1746366524_5398.JP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8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