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 몽골에 항복한 지 90여 년이 지나자 영원할 것 같던 원도 내부의 권력다툼과 수탈에 지친 백성들의 반란으로 점점 힘을 잃어 갔어요. 특히 한족 출신의 주원장이 세운 명의 영향력이 점점 확장되어 갔어요. 이 무렵 공민왕이 원에서 돌아와 고려의 왕이 되었어요. 그의 눈에는 원에 아부하며 권력을 잡은 권문세족들의 잘못된 모습들이 보였어요.권문세족들은 나라로부터 받은 땅과 백성들에게 힘으로 빼앗은 땅을 이용해 대농장을 운영하고 있었어요. 이들은 큰 산이나 하천을 경계로 할 정도로 넓은 땅을 가지고 떵떵거리며 살았지요. 땅을 빼앗기고 먹고사는 것이 힘들어진 농민들은 어쩔 수 없이 권문세족의 노비가 되거나, 절에 들어가 중이 되었어요.농민들이 권문세족에게 땅을 빼앗기자 더욱 심각한 문제가 생겼어요. 많은 농민이 노비나 중이 되고 세금을 내는 백성의 수가 줄어들자 나라의 재정도 부족해졌어요. 그러자 부족한 재정을 보충하려고 땅을 가진 농민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거둬들였죠. 원래는 생산한 것의 10분의 1만 세금으로 냈는데, 점점 늘어나 나중에는 10분의 8~9를 세금으로 거둬갔어요. 당연히 땅을 가진 농민들의 생활도 갈수록 궁핍해졌지요.권문세족에 의해 백성들의 삶이 무너져가고 있을 때, 홍건적과 왜구가 고려에 쳐들어 왔어요. 이 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