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와 서당은 모두 유교와 관련된 책을 배웠어요. 향교는 오늘날의 중등 교육 기관으로 16세 이상의 학생들이 공부하는 곳이에요. 물론 조선 초기에는 8~10세의 어린 학생들도 향교에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향교의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배우는 것은 『소학』이었어요. 향교에 입학할 때도 『소학』을 어느 정도 읽을 수 있는지 시험을 보았다고 해요. 『소학』을 다 익히면 유교 경전인 『대학』, 『논어』, 『맹자』 등을 배워요.이외에도 효에 대해 공자와 그의 제자가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정리한 『효경』, 세종 때 왕에 대한 충성, 부모님에 대한 효, 부부간의 의리를 정리한『삼강행실도』 등도 배웠어요.서당은 향교의 학생보다 어린 학생들이 공부하는 곳이에요. 오늘날로 치면 초등학교와 비슷하답니다. 조선 시대에는 남자아이들이 5~6세가 되면 서당을 다니기 시작해서 보통 15~16세가 되면 서당을 졸업했어요. 그런데 공부를 다 마치지 못하면 20세까지 서당을 다니는 경우도 있었어요.서당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은 『천자문』이라고 해요. 『천자문』을 통해 천 개의 한자를 읽고 쓰는 법을 배웠어요. 『천자문』을 다 익히면 『동몽선습』을 배워요. 『동몽선습』은 박세무가 어린 학생을 위해 유교 윤리인 삼강오륜과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정리한 책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