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교와 서당

조선 시대 유교 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교가 세워지다

컨텐츠 정보

본문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와 신진 사대부는 유교를 바탕으로 나라가 다스려지기를 바랐어요. 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교적 지식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겠지요. 태조는 나라를 세우자마자 다음과 같은 내용의 즉위 교서를 내렸어요.



중앙에는 국학(國學)을 두고 각 지방에는 향교를 세워 백성을 교화하고 인재를 양성할 것이오.


태조는 한양으로 도읍을 옮길 때 종묘와 사직단, 궁궐처럼 중요한 건물을 지으면서 교육기관들도 새로 건립했어요. 한양에는 국가 최고 교육 기관인 성균관과 동서남북에 4부학당을 세웠고, 지방 곳곳에는 향교를 건립했어요. 성균관과 4부학당, 향교는 모두 나라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관학이라고 불러요.


그렇다면 조선 시대에는 관학만 있었을까요? 아니에요. 사학이라 불리는 개인이 세운 학교도 있었어요. 바로 서당과 서원이지요. 이렇듯 조선 시대 교육 기관은 크게 관학과 사학으로 나뉠 수 있어요. 우리는 그중에서 여러분과 같은 또래를 가르친 학교인 향교와 서당에 대해 살펴보아요.

향교와 서당은 언제부터 있었을까요? 여러 기록을 살펴보면 향교는 조선 시대에 처음 세워진 것이 아니에요. 고려 시대에도 향교가 있었어요. 그런데 고려 시대에는 모든 고을에 지방관이 파견되지 못했어요. 그래서 향교도 각 지방에 골고루 세워지지 못한 것 같아요. 향교가 각 고을에 골고루 세워져 유교 교육을 담당한 것은 조선 시대에요.


조선 시대 왕들은 향교를 발전시키기 위해 많이 노력했어요. 향교 교육이 잘 이루어지도록 토지와 노비를 지급했을 뿐만 아니라 유교 공부에 필요한 책인 『소학』과 학생을 가르칠 선생님을 각 지방에 보내기도 했어요.


서당이 언제 처음 생겼는지는 역사학자마다 의견이 달라요. 어떤 학자는 고구려의 경당을 서당의 시초로 보기도 해요. 하지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서당은 조선 시대에 생겼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에요.


즉, 16세기 조선에서 사림파가 등장하면서 서당이 세워졌다는 것이죠. 이 시기에 각 지방에서 영향력을 끼치던 양반 가문이 서당을 세웠다고 해요.


17세기에는 지방 양반이 성장하면서 서당의 수도 점차 늘어나게 되었어요. 조선 후기에 정약용이 『목민심서』에서 “보통 4~5개 마을마다 서당이 있다”라고 했을 정도로 서당이 많았다고 해요.

그 후에도 서당은 꾸준히 늘어나 일제 강점기인 1911년 3월 기준 전국에 16,540개의 서당이 있었고 이곳에서 공부하는 학생이 141,604명이었을 정도라고 해요. 지금부터 조선 시대 교육 기관인 향교와 서당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520266082d62b8305032e51f89e753ea_1746780947_9854.JP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