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대통령을 직접 뽑을 수 있게 된 것은 6월 민주 항쟁의 결과에요. 요즘은 국민이 직접 대통령 선거에서 투표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지요. 하지만 1972년~1986년까지 우리나라 국민은 대통령을 직접 뽑지 못했어요. 독재 정치를 이어가고 싶었던 사람들 때문이지요.가장 먼저 대통령을 직접 뽑지 못하게 만든 것은 박정희 대통령이에요. 그는 1972년 헌법(유신헌법)을 바꾸어 대통령의 권한을 크게 키우고 대통령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뽑도록 했어요. 이에 국민들은 대통령을 직접 뽑고, 법과 현실에서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민주화운동을 펼쳤어요.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죽은 후 많은 국민들은 독재 정치가 끝나고 민주주의가 뿌리내리기를 바랐어요. 그러나 이런 국민의 바람은 12월 12일에 전두환을 비롯한 새로운 군인 세력(신군부)에 의해 무너졌어요. 그들은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잡고 국민의 민주화 운동을 탄압했어요.특히 1980년 5월 광주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중심이 되어 민주화 운동을 펼치자, 전두환은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어요.그 후 전두환은 박정희처럼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어요. 대통령이 된 전두환은 독재 정치를 하면서 민주화 운동을 탄압했어요. 언론을 자신의 입맛대로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