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5년 11월, 일본 오사카에 도착한 이봉창은 일자리를 구하러 여기저기 돌아다녔어요. 하지만 조선 사람이라는 이유로 번번이 퇴짜를 맞았어요. 그러다 가스 회사에 취직하면서, 이름도 일본식으로 바꾸었어요. 그러나 곧 그만두게 되었어요. 간장 가게에서도 일하게 되었지만 여의치 않았어요.이봉창은 할 수 없이 오사카 항구에서 하루 품삯을 받는 부두 노동을 하였어요. 정말 힘들었어요. 그러던 어느 날이었어요.부산과 일본의 시모노세키를 왕복해 운항하던 여객선과 항구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형님, 오늘 품삯 얼마 받았소? 내 품삯이 저번의 반밖에 안 돼.”“자네가 일본 사람이 아닌 조선 사람이라는 걸 알게 되었나 보군.”“아니, 이런 데서도 일본 사람과 조선 사람을 차별한다는 거예요?”이봉창은 생활하며 조선인에 대한 차별 대우를 실감했어요. 하지만 그러면서도 사람 대접받고 살길은 일본 사람으로 사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였어요. 이봉창은 일본 사람과 똑같은 말과 행동을 몸에 익히기 위해 부지런히 노력했어요. 그러던 1928년 어느 날, 한 일본인 친구가 그에게 말했어요.“기노시타, 천왕폐하 즉위식이 있다는데 함께 가보지 않겠나?”이봉창은 일본인 친구와 함께 식장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섰어요. 일본 경찰들은 한 사람씩 훑어보며 꼼꼼히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