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열단이 활발하게 활동을 하던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도 의거가 일어났어요. 먼저 앞에서 이야기했던 중국 상하이 황포탄 의거가 있었어요. 의열단은 1922년 3월 일본 육군 대장 다나카가 배를 타고 필리핀을 거쳐 상하이로 온다는 소식을 들었어요.그래서 그를 총으로 저격하기로 했어요. 이 작전에는 의열단 부단장인 이종암, 국내에서 조선 총독부 건물에 폭탄을 던지고 중국으로 탈출했던 김익상, 그리고 오성륜 3명의 의사가 참여했어요.3월 28일 오후 3시쯤 일본 육군 대장이 탄 배가 황포탄 부두에 도착했어요. 육군 대장이 배에서 내리자 먼저 오성륜 의사가 권총 두 발을 쏘았어요. 안타깝게도 육군 대장이 아니라 그의 앞에 있던 서양인 여성이 총에 맞았어요.총소리에 깜짝 놀란 육군 대장이 자동차로 도망치자 이번에는 김익상이 권총을 쏘았어요. 김익상이 쏜 총알은 모자에 맞았어요. 마지막으로 이종암이 자동차를 향해 폭탄을 던졌어요. 폭탄은 자동차 바퀴 밑으로 굴러갔지만 터지지 않았어요. 이를 지켜보던 영국 군인이 폭탄을 물속으로 차버려 결국 실패로 끝나고 말았어요.황포탄 의거 후 김익상과 오성륜이 일본 총영사관 경찰에게 붙잡혔어요. 두 사람은 일본 총영사관 구치소에 갇혀 온갖 고문을 받았어요. 그러던 중 오성륜은 탈출에 성공했고, 김익상 혼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