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과학자들은 어떻게 하늘의 움직임을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보듯이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걸까?’1765년 홍대용은 평생소원이자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기회를 얻었어요. 바로 청나라 수도인 북경(연경)에 사신단으로 가게 된 것이에요.북경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크고 번화했어요. 상점가, 화려한 서양식 건물 등, 보는 것마다 눈이 휘둥그레졌지요. 청은 서양과 활발한 교류로 다양한 문물이 들어와 있었어요.“청이 이토록 발전하였단 말인가!”베이징에서 만난 서양 문물망원경을 살펴보았어요. 서양 악기인 오르간도 보았어요.‘망원경 통은 청동으로 만들었는데, 통의 크기는 조총의 통만하고, 길이는 석 자 남짓, 양 끝에는 각각 유리를 끼웠다.‘건반을 누르면 파이프 구멍이 열리고 닫히고.... 사람의 호흡이 필요 없고 기기만으로.... 역시 서양 방식이다.’역시 홍대용의 호기심은 남달랐어요. 홍대용은 하루빨리 서양 선교사를 만나 천문과 수학에 대해 토론하고 싶었어요.먼저 북경의 천주교당부터 방문하였어요. 서양식 건물의 응접실 벽면에 걸린 세계지도와 천문도에서 눈을 뗄 수 없었어요.서양인 신부는 홍대용에게 천체 모형을 보여 주었어요.홍대용은 적잖은 충격을 받았어요. 지구를 중심으로 우주가 펼쳐진 것이 아니라, 우주 속에 지구가 있었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