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 일제는 우리의 국권을 빼앗고 대한 제국을 자신들의 손아귀에 넣어버렸지요. 이후 독립운동가들은 나라를 되찾기 위해 국내외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벌였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어려움을 겪었어요.그러던 중 3·1 운동이 일어났어요. 전국 방방곡곡의 온 국민이 참여한 대규모 만세 운동에 일제는 깜짝 놀랐어요. 사람들은 만세 운동을 벌이며 독립운동을 이끌어 갈 정부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지요.그 결과 한성(서울)과 연해주, 상하이 등에 정부가 들어섰어요. 이후 세 곳에 흩어져 있는 정부를 하나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지요. 여러 사람들의 노력으로 1919년 9월에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로 합쳐졌어요. 당시 임시 정부가 자리 잡은 곳은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지였지요. 조계지는 프랑스 경찰이 치안을 담당하는 지역으로 일본 경찰이 함부로 들어올 수 없는 지역이었어요. 일본의 눈을 피해 독립운동을 하기 유리한 곳이었어요.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나라 이름을 대한 제국을 잇는다는 의미에서 ‘대한’, 국민의 나라라는 뜻에서 ‘민국’ 이라고 했어요. 행정부에 해당하는 임시 정부, 국회 역할을 하는 임시 의정원, 그리고 법원이 있었어요. 지금과 똑같이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로 구성된 정부였지요. 헌법(대한민국 임시 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