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에 이어 조선 시대에도 우리나라 사람들은 울릉도와 독도를 우리의 영토로 생각하였어요. 또한 울릉도에 살면서 울릉도 주변을 비롯해 독도에서 물고기 잡이를 하는 어민들도 많았어요.그러나 조선 초 태종 때 울릉도, 독도를 비롯해 여러 섬에 사는 주민들을 섬에서 나오게 한 뒤 육지에 살게 했어요. 왜냐하면 왜구, 즉 일본 해적들이 자주 노략질을 해 우리 주민들을 보호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죠. 또한 섬으로 숨어들어 세금을 내지 않는 죄인들도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어요.이렇게 울릉도와 독도의 주민들을 나오게 해서 육지에 살게 하는 정책은 조선 후기까지 이어졌어요. 한편 동래(지금의 부산) 어부였던 안용복은 1693년 동료 어부들과 울릉도에 가서 물고기를 잡던 중 일본 어부들이 함부로 울릉도에 들어와 있는 것을 발견하였어요.안용복은 일본 어부들에게 조선 땅을 침범해 온 것을 따졌고, 이 과정에서 싸움이 벌어졌어요. 인원이 모자랐기 때문에 안용복은 일본 어부들에게 붙잡혔고, 일본 어민들에 의해 일본 오키섬으로 끌려갔어요.그러나 안용복은 전혀 위축되지 않고 오키섬의 관리에게 일본 어민의 불법적인 행동을 당당하게 말했어요. 또한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땅임을 주장했어요. 결론을 내리지 못한 오키섬의 관리는 안용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