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누구나 죽음을 맞이해요. 그래서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중요한 시기를 소중히 여기고 기념하고자 하였어요.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행사를 치르며 의미를 새겼지요. 이것을 의례라고 해요.출생 후 성장하여 혼례를 치르고 일정 기간 살다가 세상을 떠나면 산 사람들이 상례를 치러요. 상례가 끝나면 산 사람은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며 제사를 지내지요. 이러한 혼례와 상례, 제례는 모두 한 사람의 일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의례라 할 수 있어요.조선 시대에는 사람들은 일생에서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의례를 치르며 의미를 되새겼어요. 그들은 이러한 의례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지요. 예를 들면 백일, 돌, 성년식(관례), 혼인 예식(혼례), 장례(상례), 제사(제례) 등이 있었어요. 이 가운데 대표적으로 관례, 혼례, 상례, 제례를 ‘관혼상제’라고 따로 일컬었어요. 그만큼 중요했다는 뜻이지요.조선 시대 관혼상제의 모습은 어떠했을까요? 그 구체적인 모습을 함께 살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