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랑 신부의 혼인 의례
컨텐츠 정보
- 27 조회
- 목록
본문
혼례는 신랑과 신부의 혼인 의례를 말해요. 예로부터 혼인은 사람이 일생에서 겪는 가장 중요한 일이라는 뜻에서 ‘인륜지대사’라고 했어요. 처녀와 총각이 새 가정을 이루는 일이니 중요하지요.
조선 시대에 혼례를 올리기 위해서 몇 가지 혼례 절차를 밟아야 했어요. 혼인은 두 집안의 큰 행사이며 동네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는 잔치인 만큼 신중하게 치르기 위해서였어요.
혼인에 대한 이야기가 오가면 남자 쪽에서 여자 쪽으로 사주를 보냈어요. ‘사주’란 사람이 태어난 해, 월, 일, 시간을 말해요. 사주를 비교해서 두 사람이 서로 어울린다는 점괘가 나오면 신부집에서는 혼인 날짜를 정해 신랑집에 알렸어요. 이것을 ‘택일’이라고 부르지요. 그리고 혼인 날짜가 정해지면 신랑 집에서는 신부집으로 함을 보내요.
혼례 날 신랑은 사모관대 차림으로 말을 타고 신부집으로 가요. 본래 ‘사모관대’는 나랏일을 하는 사람이 궁궐에 들어갈 때 쓰던 모자와 관복이에요. 하지만 혼인의 예를 갖추기 위해 신랑이 입기도 했지요.
김홍도의 신행도
언뜻 보면 과거에 급제한 젊은이가 고향에 돌아오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신랑이 신부를 만나러 가는 길이에요.
문화재청
기럭아비는 기러기 한 쌍을 들고 신랑이 탄 말보다 앞서 갔어요. 이 기러기는 나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신부에게 줄 선물이에요. 기러기는 한번 짝을 지으면 죽을 때까지 헤어지지 않고 사는 금슬 좋은 새이지요. 그래서 신랑은 기러기 한 쌍을 주며 사이좋은 부부로 한평생 살아가자는 마음을 신부에게 전했던 거예요.
신랑신부의 모습
신랑은 신부집에 들어가 가져온 기러기 한 쌍을 내려놓고 신부의 아버지에게 공손히 절을 올렸어요. 그리고 신랑 신부는 넓은 마당에 초례상(혼례를 치를 때 차려 놓는 상)을 두고 서로 마주 서서 예식을 치러요.
“신랑 납시오!” 라고 초례(혼례 의식)를 진행하는 사람이 우렁차게 외치면, 신랑이 성큼성큼 초례상 앞으로 나왔어요. 또 “신부 납시오!”라고 외치면, 신부가 바닥에 깔린 흰 베를 사뿐사뿐 밟으며 방에서 걸어 나왔어요. 이때 신부는 연지와 곤지를 찍은 얼굴에 족두리 쓰고 원삼 저고리를 입었지요.
마주 보고 선 신랑과 신부는 초례 절차에 따라 서로 큰절을 올려요. 그리고 조롱박으로 만든 잔에 술을 부어서 함께 나누어 마시죠. 해가 지면 신랑 신부는 신방에서 첫날 밤을 맞이하지요.
어때요? 오늘날 결혼식 모습과 많이 다르지요. 하지만 남자와 여자가 혼인을 통해 새로운 가정을 꾸린다는 점은 변함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