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관혼상제

제례, 조상님을 잘 모셔야 효자

컨텐츠 정보

본문

옛사람들은 조상을 잘 모셔야 그 집안이 잘된다고 여겼어요. 조상의 혼령이 자손들을 지켜 준다고 믿었거든요. 그래서 돌아가신 조상 섬기기를 살아 계신 부모 모시듯 해야 한다고 자손들에게 늘 말했지요.


이처럼 돌아가신 분을 위해 제사를 지내며 후손의 도리를 다하는 것을 ‘제례’라고 했어요. 그래서 제사는 옛날부터 집안의 중요한 일로 자리 잡았어요. 만약 제례를 소홀히 하는 사람이 있으면 마을 사람들로부터 손가락질당하기 일쑤였지요.



47c9d295d07e47f6362028b31bc47db0_1746608503_3013.JPG
 



“자신의 근본도 모르는 불효막심한 사람 같으니라고!”

특히 조선 시대 양반들은 집에 조상들의 영혼을 모시는 사당을 두고 제사를 지냈어요. 사당은 돌아가신 분들을 상징하는 신주를 모시는 건물이지요. 사당에 가서 조상들에게 아침저녁으로 문안 인사를 하며 마치 살아 계시는 웃어른을 모시는 듯하였지요.


“건넛마을 이 진사를 만나고 오겠습니다.”


“별 탈 없이 잘 다녀왔습니다.”

외출할 때나 집에 돌아왔을 때도 먼저 사당으로 가서 소식을 알렸어요. 또한 자식이 과거에 급제했거나, 관례와 혼례를 치르는 등 집안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도 사당제를 치렀어요.


제례에는 기제와 차례, 시제 등이 있어요. ‘기제’는 해마다 조상이 돌아가신 날을 맞아 치르는 제사예요. 아버지와 어머니, 할아버지와 할머니, 증조할아버지와 증조할머니, 고조할아버지와 고조할머니까지 4대 조상에게만 지냈어요. 이것만 해도 일 년에 여덟 번의 기제를 지내 보통 가정으로서는 부담이 매우 컸어요. 그래서 오늘날에는 1∼2대 조상까지만 기제를 올린답니다.


‘차례’는 명절날 4대 조상들에게 한꺼번에 올리는 제사예요. 본래 차례는 조상에게 차를 올리는 예를 뜻하였어요. 그러다 점차 차 대신 술을 올리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해요. 예전에는 모든 명절 때마다 차례를 지냈지만, 지금은 설과 추석에만 지내요. 제사상은 명절의 대표적인 음식과 술로 간단히 차리지요.


‘시제’는 5대 이상의 조상을 해마다 음력 3월이나 10월 중에 날을 택하여 지내는 제사예요. 제사는 지금의 나를 세상에 있게 해 준 조상들의 은혜에 감사하기 위해 지내는 거예요. 앞으로 여러분이 제사를 지내게 된다면 자신의 뿌리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아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