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형필은 사람들로부터 엄청난 손가락질을 받았어요. 고물을 사들이는데 쓸데없이 재산을 날린다고 말이에요. 하지만 그는 아랑곳하지 않았어요.때론 열 배가 넘은 가격에 문화유산을 사들이고, 사들인 문화유산을 수선하는데 산 가격보다 더 많은 돈을 쓰기도 했지요. 전형필은 우리 문화유산을 지키는데 아까울 게 없었어요. 종이 쪼가리 하나라도 일본으로 건너가선 안 된다는 생각에서였지요.“많은 후손이 볼 수 있도록 미술관을 열어 보존하고 전시할 것이오.”1938년 전형필은 자신이 모은, 빛나는 보물들을 모아둘 보물 창고를 지었어요. 그것이 바로 보화각이예요. 『훈민정음 해례본』,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신윤복의 풍속도 화첩 등 국보 12점, 보물 10점 등 수천 여 점의 문화유산이 보관되어 있었어요. 그가 죽은 뒤 보화각은 이름이 간송미술관으로 바뀌었어요.간송미술관 전경(서울 성북구)한국학중앙연구원간송미술관은 전형필의 뜻에 따라 문화유산을 후손들에게 널리 보여주기 위해 1년에 두 번 전시회를 열었어요. 많은 사람이 전시회를 보기 위해 몰려들어 미술관 주변 골목까지 긴 줄이 이어졌지요.최근에는 전시회 장소를 옮겨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간송문화전’을 열고 있어요. 대구미술관에서도 전시회를 열었어요. 주제별로 전시회가 열리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