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 사람들이 널리 믿었던 종교는 불교였어요. 삼국 시대와 남북국 시대처럼 고려 시대에 들어와서도 불교는 크게 유행했지요. 고려를 세운 태조 왕건도 불교를 숭상하고자 했어요. 그가 후손에게 남긴 유언이라고 할 수 있는 훈요 10조에도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겨 있어요.불교의 힘으로 나라를 세웠으므로, 불교를 장려하라. ……부처를 모시는 연등회와 여러 신을 모시는 팔관회를 성실하게 열도록 하라.오래된 사찰에 가 보면 돌로 만든 탑들을 볼 수 있어요. 원래 탑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인 스투파에서 나온 말이에요. 스투파는 불교가 전래되는 과정에서 ‘탑파’가 되었다가, 줄어서 ‘탑’이 되었지요. 스투파는 석가모니가 열반한 다음 몸에서 나온 사리들을 보관하기 위해 만들기 시작하였어요. 이후 탑은 부처의 상징이 되었으며, 승려들이 모여 살면서 신앙생활을 하는 사찰에는 탑도 함께 세워졌어요.고려 이전인 통일 신라 시대에는 주로 3층탑이 만들어졌는데, 고려 시대에 들어와서는 층수가 더욱 많아졌어요. 그래서 5층탑, 7층탑, 9층탑이 세워졌지요. 당시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탑으로 개성 불일사 5층 석탑, 개성 현화사 7층 석탑,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이 있어요.하지만 고려 시대에는 홀수 층의 탑만 세워진 것은 아니었어요. 고려 후기에 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