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숙종 때 윤관은 별무반이란 특수부대를 만들어 여진족을 정벌하였어요. 기병인 신기군, 보병인 신보군, 스님들로 이루어진 항마군 등 각기 역할을 나눠 조직한 별무반은 여진을 정벌하고 동북 9성을 쌓았어요. 이후 여진 정벌의 필요성이 사라지자 별무반도 해체되었어요.별무반의 구성별무반은 특수 임무를 위해 임시로 만든 특수부대였어요. 여진 정벌 이후 별무반은 해체되었으나 유사한 성격의 부대가 무신 정권이 세워진 후 다시 만들었는데 그것이 ‘별초’였어요. 최초의 별초는 무신 정권이 도둑을 막기 위해 만든 야별초였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된 야별초는 그 수가 늘면서 좌별초와 우별초로 나뉘었고, 몽골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돌아오거나 탈출한 이들로 이루어진 신의군이 만들어지면서 삼별초라 불렸어요.삼별초는 무신 세력의 사병 역할도 하면서 조정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어요. 많은 지원 속에 삼별초는 고려 최강의 군대로 성장해 갔어요. 고려에서 가장 강한 군대였던 삼별초는 주로 개경에 있었지만, 일부는 지방에도 있었어요. 지방에서 근무하던 별초들은 몽골과의 항쟁에도 큰 역할을 했어요. 그 대표적인 예가 김경손 장군과 12명의 결사대 이야기예요.몽골군이 압록강을 넘어 고려를 침략해 왔어요. 여러 성이 함락되었고 예전에 강감찬 장군이 거란군을 크게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