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한강을 건너는 문제를 해결하다

컨텐츠 정보

본문

“이제부터 매년 현륭원을 참배하려 하오.”


“전하, 한강을 건너기가 쉽지 않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한강을 건너려면 수십 척의 배가 필요합니다.”


정조는 고민에 빠졌어요. 그때 떠오르는 얼굴이 있었어요.


“가서 정약용을 불러 오시오.”


정약용은 학식이 풍부할 뿐 아니라 일찍이 서학을 공부해 과학 기술 분야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기 때문이었어요.


“전하, 한강에 배를 이용해서 다리를 놓는 것입니다. 그러면 많은 인원이 이동하기 편할 것입니다. 필요할 때마다 설치하면 시간과 돈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배다리라? 그거 좋은 생각이오. 역시 정약용이오. 그대가 배다리에 대한 설계를 맡아 해 주시오.”


정약용은 자신의 모든 지식을 총동원해 배다리를 설계해 나갔어요. 마침내 커다란 배 80여 척을 옆으로 나란히 세워 두고 그 위에 판자를 얹은 대규모의 설계도가 완성했어요. 언뜻 쉬운 일 같지만 배들이 물결을 따라 밀리는 것을 막고 서로 부딪치지 않게 해야 하는 등 연구할 일이 많았어요. 특히 밀물과 썰물이 드나들 때 어떤 영향이 있는지, 한강의 어느 지점에 배다리를 놓아야 적당한지를 알아내야 했지요.


정약용은 설계도에 배와 배 사이의 간격, 판자의 너비와 두께, 배들이 물결에 휩쓸리지 않게 하는 방법 등 수십 가지의 내용들을 기록하였어요.


정약용의 치밀한 설계대로 드디어 배다리가 완성되었어요.


“우와, 저기 좀 봐. 한강에 배로 만든 다리가 놓였어.”


한강에 다리가 놓였다는 소문에 전국에서 이를 구경하러 백성들이 몰려들었어요. 구경꾼들은 마냥 신기해하였어요.

완성된 배다리를 보며 크게 기뻐했어요. 정약용도 배다리를 안전하게 건너는 사람들을 보며 매우 흡족하였지요. 지금의 용산과 노량진 사이에 놓였던 이 배다리 덕택에 정조는 손쉽게 한강을 건너 화성까지 다녀올 수 있었어요.



47c9d295d07e47f6362028b31bc47db0_1746582165_5198.JPG
한강주교환어도

국립고궁박물관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