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 구간
컨텐츠 정보
- 21 조회
- 목록
본문
조선 시대 한양 사람들은 봄과 여름, 두 차례에 걸쳐 성 안팎을 구경하였는데, 이를 순성놀이라고 했어요. 순성놀이 때 사람들은 짝을 지어 성을 한 바퀴 돌면서 꽃과 버들을 구경하고 소원도 빌었어요.
한양도성 순성길은 조선 시대 성곽을 따라 걸으며 풍경을 감상하던 순성놀이에서 유래된 총 6개 구간으로 총 25.7㎞에 이르는 길이에요. 6개 구간은 백악 구간, 낙산 구간, 흥인지문 구간, 남산 구간, 숭례문 구간, 인왕산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각 구간별로 살펴보도록 해요.
창의문(서울 종로구)
문화재청
백악 구간은 창의문에서 백악을 넘어 혜화문까지 4.7㎞에 이르는 구간이에요. 창의문은 인왕산과 백악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문으로 사소문 중 유일하게 조선 시대 문루(성문 위에 지은 집)가 그대로 남아 있어요. 이 문루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던 것을 영조 때 다시 지은 것이에요. 현재는 자하문으로 더 많이 불리는데, 이 문 부근의 경치가 개경의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던 자하동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별명이에요.
창의문을 지나 좀 더 올라가면 백악마루가 나와요. 백악마루는 1396년 태조 이성계의 명으로 처음 한양도성을 쌓을 때,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 97개의 공사구간을 나눌 당시 ‘천(天)’자 구간이 붙여진 곳이에요. 즉, 한양도성 공사의 첫 구간이 시작된 곳이지요.
숙정문(서울 종로구)
문화재청
숙정문은 한양도성의 북쪽에 있는 성문인데, 원래 이름은 숙청문이었다가 후대에 와서 바뀌었어요. 북대문, 북문이라고도 불린 숙정문은 도성의 다른 성문과는 달리 산속에 있어서 평상시에는 문을 닫아두었다가, 국가 행사가 있을 때만 사용하였다고 해요.
혜화문은 한양도성의 동북쪽 문으로 4소문 중의 하나인데, 처음 세워졌을 때 이름은 홍화문이었어요. 이후 창경궁을 만들고 정문을 홍화문으로 이름 붙이면서 기존에 있던 한양도성의 홍화문과 이름이 헷갈리게 되었지요. 그래서 ‘홍화문’의 이름을 ‘혜화문’으로 바꾸었지요. 이후 혜화문은 일제 강점기에 헐렸다가 1994년에 본래 자리보다 조금 북쪽에 세워졌어요. 본래 자리에는 이미 도로가 있어서 어쩔 수 없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