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세시풍속

햇곡식과 과일로 차례를 지내던 추석

컨텐츠 정보

본문

우리 속담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어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와 같으면 좋겠다.


한가위는 추석의 다른 이름이에요.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가배, 중추절 등으로도 불렸어요. 설날과 함께 우리 민족의 최대 명절이지요. 『삼국사기』에는 신라 유리왕 때 가배와 관계된 기록이 있어요.


유리왕은 도읍의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나누어 8월 15일이 되기 약 한 달 전부터 옷감을 짜는 길쌈을 하도록 했어요. 마지막 날이 되면 승부를 겨루었는데, 이때 진 편에서 음식을 장만하여 대접하며 놀았다고 해요.


조선 시대 사람들은 추석 때 송편을 빚어서 먹었어요. 농사지은 햇곡식과 과일로는 조상님께 차례를 지냈어요. 한식 때처럼 조상의 묘를 찾아가 성묘도 했어요.


서당에 다니는 아이들은 원놀이를 하거나 편을 나누어 가마 싸움을 했어요. 원놀이는 아이들 중 한 명이 마을의 원님(사또)이 되고 나머지는 백성이 되어 모의재판을 하는 거예요. 가마 싸움은 각 마을마다 나무 가마를 만들어 서로 부딪히면서 싸우는 것인데요. 이때 가마가 부서지면 지는 거예요. 이외에 부녀자들은 강강술래를 했어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