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 무관 학교로 이름을 변경하다
컨텐츠 정보
- 1 조회
- 목록
본문
1919년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린 역사적 사건이 발생했어요. 신분, 직업, 종교 등의 구별 없이 모든 계층이 참여한 3·1 운동은 국내는 물론 나라 밖까지 퍼져나갔어요. 당시 서간도 지역에서도 200여 명이 만세 운동을 벌였지요.
3·1 운동은 나라 밖의 독립운동이 활성화되는 데 큰 역할을 했어요. 만세 시위에 참여하면서 독립에 대한 열망이 높아진 많은 젊은이들이 만주 지역으로 몰려온 것이지요. 이러한 흐름은 신흥 중학교에도 영향을 끼쳐서 체계적인 군사 훈련을 받기 위해 입학하는 학생들의 수가 크게 늘어났어요.
이들을 다 받기 어렵게 되자 신흥 중학교는 1919년 5월 합니하에서 유하현 고산자로 옮겼어요. 그리고 학교 이름도 신흥 무관 학교로 변경하였어요. 기존에 있던 추가가와 합니하의 학교들은 신흥 무관 학교의 분교로 운영했어요. 고산자의 신흥 무관 학교로 이전하면서 교육과정도 각각 6개월, 3개월, 1개월 과정으로 나누어 군사 훈련을 실시했어요.
이 무렵 신흥 무관 학교는 건물뿐만 아니라 교육 내용에도 큰 변화가 있었어요. 일본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으로 근무하던 김경천과 지청천이 신흥 무관 학교까지 찾아온 덕분이었어요. 일본군을 탈출하여 독립운동에 뛰어들 기회를 엿보던 이들은 3·1 운동에 큰 감명을 받고 조국의 독립을 위해 평생을 바칠 것을 결심하고 멀리 서간도 지역까지 온 것이었어요.
특히 지청천은 원래 본명은 지대형이었는데, 독립운동을 위해 서간도로 온 후 일제의 추적을 피하기 우해 이청천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요 또한 지청천이라는 이름도 사용했는데, 우리에겐 지청천이라는 이름이 제일 많이 알려졌지요.
김경천과 지청천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이들은 탈출할 때 최신 군사 전술책과 군사 지도를 가지고 왔어요. 일본군과 맞서 싸울 군사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일본군이 어떤 방식으로 훈련을 받고 있느냐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했거든요. 그래서 이들이 가지고 온 군사 전술책과 지도는 신흥 무관 학교의 군사 훈련에 아주 중요하게 사용되었어요.
뿐만 아니라 김경천과 지청천이 신흥 무관 학교의 교관에 임명되어 활동하면서 훨씬 더 최신식 군사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지요. 얼마 후 중국 무관학교 출신의 이범석도 신흥 무관 학교로 찾아오는 등 신흥 무관 학교의 인기는 날로 높아갔어요. 당시 세 학교에서 한 해 동안 약 1,000명의 독립군이 배출될 정도로 신흥 무관 학교의 명성은 매우 높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