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의 문화유산

전주에 감영이 설치되어 전라도의 중심지가 되다

컨텐츠 정보

본문

조선 시대 전주에 전라감영이 설치되었어요. 감영은 조선 시대 8도를 다스리던 관찰사가 머물며 업무를 하던 곳이에요. 그러니 8개의 감영이 있었어요. 그중 전주에 설치된 전라감영은 중요한 감영 중 하나였어요.

우리나라의 곡창지대인 전라도의 행정과 군사를 관장했을 뿐만 아니라 제주도까지도 포함하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전라감영과 백성을 지키기 위해 성을 쌓고 동서남북에 각각 완동문, 패서문, 풍남문, 공북문 등 4개의 문을 두었어요.


전라감영을 둘러싸고 있던 전주성은 한 때 농민군에게 점령되었던 적이 있었어요. 바로 1894년에 일어난 동학농민운동 시기이죠. 이때 농민군은 전주성을 점령하고 정부와 ‘전주화약’을 맺기도 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전라감영의 당시 모습을 볼 수 없어요. 전주성에 있는 4개 문 가운데 남문인 풍남문을 제외한 3개의 문이 신작로를 놓으면서 없어지는 등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건물 대부분이 철거되었고, 조금이나마 남아 있던 건물도 6.25 전쟁때 모두 사라져버렸거든요. 그래도 다행인 것이 2020년 건물 일부가 다시 지어졌다는 거예요.



4c0ab2095b22a8b9744cabf724df5dd4_1746327488_6045.JPG
풍납문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9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