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의 문화유산

견훤, 전주에서 백제를 계승한 나라를 세우다

컨텐츠 정보

본문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100년쯤 지나 혜공왕이 왕위에 올랐을 때 신라는 위기를 맞이했어요. 중앙에서는 왕위 쟁탈전이 벌어져서 이후 약 150년 동안 20명이 왕위에 올랐을 정도로 혼란했어요. 그리고 지방에서는 중앙 정부에 대항하는 새로운 세력인 호족이 등장했죠.


견훤은 신라의 서남쪽을 지키는 군인이었는데, 9세기 후반 자신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호족으로 성장한 대표적 인물이에요. 그는 892년 무진주(지금의 광주)를 차지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어요. 그리고 8년 뒤인 900년 완산주(지금의 전주)로 도읍을 옮기고 나라 이름을 백제라고 했어요. 우리는 현재 이 나라를 후백제라고 불러요. 그 이유는 삼국 통일 이전에 있던 백제와 구분하기 위해 역사학자들이 ‘후백제’라 이름 붙였기 때문이죠.


전주(완산주)는 견훤이 후백제를 세운 900년부터 왕건에게 멸망 당한 936년까지 37년간 후백제의 도읍이었어요. 견훤은 후백제를 다스리기 위해 전주(완산주)에 왕궁을 쌓았어요. 그런데 안타깝게도 현재 왕궁은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지 않아요. 왕궁터도 알지 못했죠. 다만 어떤 역사학자들은 동고산성 일대를 왕궁터로 추정하고 있어요.

동고산성에서는 후백제 왕궁에 사용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기와가 발견되었고, 기와에는 ‘전주성’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요. 동고산성은 원래는 통일 신라 시대에 처음 만들어졌는데, 후백제를 세운 견훤이 전주(완산주)에 도읍을 정하면서 동고산성 근처에 왕성을 쌓았을 것으로 여겨져요.



4c0ab2095b22a8b9744cabf724df5dd4_1746327011_9093.JPG
동고산성

국가유산청




한편 최근에는 후백제의 왕궁터에 대한 다른 의견도 있어요. 동고산성 일대가 왕궁으로 사용되기에는 지형이 너무 험하고 마실 물도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9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