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조 500년의 역사를 품고 있는 경복궁
컨텐츠 정보
- 26 조회
- 목록
본문
태조 이성계는 새 왕조를 세운지 채 한 달도 안 돼 천도를 결심했어요. 처음에는 한양으로 천도를 명하였지만 새로운 후보지로 계룡산과 무악이 거론되면서 천도는 한동안 미뤄야했어요. 최종적으로 한양을 도읍지로 결정하고 도읍지 설계의 총 책임을 정도전에게 맡겼어요.
정도전을 비롯한 신하들은 궁궐, 종묘, 사직, 도로, 시장 등을 설계하고, 각종 공사를 시작했어요. 궁궐은 1395년 9월 29일에 완공되었고, 이성계는 12월 28일에 서둘러 새 궁궐인 경복궁으로 옮겨왔어요.
경복궁이 처음 지어졌을 때에는 390여 칸의 규모로, 다른 나라 궁궐에 비해 그리 크지 않았어요. 검소함을 중요하게 여긴 사대부들의 정신이 잘 구현된 궁궐이었지요. 비록 규모는 작지만 그 안에 담겨 있는 의미와 아름다움은 어느 나라 궁궐 못지않답니다. 자연과의 조화를 보여주는 궁궐을 돌아보면, 저절로 감탄사가 나오기도 해요. 인왕산과 북악산의 능선과 경복궁의 지붕선이 만들어낸 곡선의 조화는 매우 아름다워요. 궁궐 바닥에 깔린 돌 하나하나에는 자연스러움이 깃들어 있어요.
그런데 왜 궁궐 이름이 경복궁이 된 것일까요? 궁궐이 다 지어진 어느 날, 잔치가 벌어졌어요. 이때 태조 이성계가 정도전에게 금으로 된 각대(벼슬아치가 예복에 두르는 띠)를 내리고 그 공을 칭찬하며, 명했어요.
“그대는 마땅히 궁궐의 이름을 지어 나라와 더불어 길이 빛나게 하시오.”
“신 정도전 분부 받들겠사옵니다. 이미 술에 취하고 덕에 배불렀나이다. 군자는 만 년 동안 큰 복을 받으시리라.”
정도전은 시를 외더니 마지막 구절의 한자 두 글자를 따 ‘경복’ 이라는 이름을 지어 올렸어요. 경복궁은 조선 왕조의 법궁이에요. 법궁은 왕이 머물며 나랏일을 하는 제1의 궁궐을 말해요. 여러 가지 사정이 생겨 법궁에 머물 수 없을 때를 대비해 지은 궁을 이궁이라고 하지요. 이후 경복궁은 점점 조선의 으뜸 궁궐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되요. 태종 때 경회루가 지어졌고요. 세종 때에는 집현전이 세워지고 세종이 큰 관심을 가진 천문기기들도 설치되었지요.
그런데 경복궁에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어요. 조선이 세워진 지 200년 후인 1592년에 임진왜란이 발생했고, 경복궁이 불에 타버렸지요. 이후 270여 년 동안 경복궁은 방치되어 있었어요. 다시 경복궁을 지은 사람은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 대원군이에요.
하지만 일제 강점기 때에 다시 일본에 의해 건물들이 헐리고, 근정전 앞에 조선 총독부가 들어서는 아픔을 겪기도 했어요. 정문인 광화문은 경복궁의 동문인 건춘문 뒤쪽으로 옮겨져 버렸어요.
1995년 조선 총독부 건물이 철거되면서 경복궁은 본격적으로 복원되기 시작했고, 서울의 심장부를 지키며 조선 왕조 500년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답니다. 지금부터 조선의 으뜸 궁궐과 그에 얽힌 이야기들을 하나하나 살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