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촌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다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1917년 윤동주는 간도의 명동촌(지금의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에서 아버지 윤영석과 어머니 김용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어요. 그의 집안은 증조할아버지 때 함경북도에서 간도로 이주하였지요. 윤동주 아버지는 명동학교의 교사였고, 어머니는 기독교 장로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고 자랐어요.
어린 시절 윤동주의 단짝 친구는 송몽규였어요. 그는 윤동주의 사촌이었는데, 다섯 살까지 같은 집에서 살았기 때문에 늘 붙어 다녔어요. 동네 사람들은 둘을 볼 때마다 웃으며 얘기했어요.
“너희 둘은 어째 한시도 떨어져 있지 않고 매일 붙어 다니느냐. 꼭 쌍동밤 같구나.”
“저는 9월에 태어났고 동주는 12월에 태어났어요. 제가 석 달 빠른 형이지만 저희 둘은 가장 친한 친구에요!”
아홉 살 때 윤동주와 송몽규는 나란히 명동소학교에 입학했어요. 이 소학교는 독립운동가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졌는데, 선생님들도 대부분 독립운동을 하던 분들이었어요.
명동소학교 시절 윤동주는 특히 국어 시간을 좋아했어요. 『솟는 샘』이라는 등사본 국어책은 윤동주가 가장 즐겨 읽던 교과서였어요. 『솟는 샘』에 나오는 동시를 비롯해 글 대부분을 외우다시피 했지요. 그러나 일본어 성적은 썩 좋지 않았어요. 일본어 시간에 그는 맨날 딴생각만 했거든요.
어느 날 일본어 선생님이 윤동주에게 다가와 말씀하셨어요.
“동주야! 네 일본어 성적이 이게 뭐니? 낙제 점수다. 사실 나도 일본어를 가르치는 게 좋지만은 않다. 그렇지만 우리가 독립하기 위해서는 일본을 잘 알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일본어를 배워야 하지 않겠니?”
그때 윤동주의 친구이자 사촌인 송몽규가 손을 번쩍 들며 말했어요.
“우리나라를 빼앗은 일본의 말을 왜 배워야 하나요? 그게 우리나라의 독립과 어떤 관련이 있나요?”
“몽규가 질문을 잘했다. 너희들도 궁금하지? 신학문을 배워야만 실력을 키울 수 있고, 실력을 키워야만 독립을 하루빨리 할 수 있단다. 그런데 안타깝지만 신학문이 대부분 일본어로 되어 있거든.”
선생님의 말씀을 듣고서 윤동주도, 송몽규도, 다른 친구들도 고개를 끄덕였어요. 그렇지만 나라를 강제로 빼앗은 일본의 말을 배워야한다는 것이 너무나 가슴 아팠어요.
윤동주와 송몽규는 어린이를 위한 잡지를 즐겨 읽었어요. 방정환이 펴낸 『어린이』라는 잡지가 서울에서 북간도의 시골 마을인 명동촌에까지 정기적으로 배달되었어요. 윤동주와 송몽규는 『어린이』를 읽은 후 동네 아이들에게도 전해줘 다같이 읽을 수 있도록 있었어요.
5학년이 된 어느 날 윤동주와 송몽규는 어린이를 위한 잡지를 스스로 만들어보기로 했어요. 남들 앞에 서기를 좋아하는 송몽규가 교탁 앞에 서서 친구들에게 함께 만들자고 이야기했어요.
많은 친구가 잡지 만드는 것에 동참하기로 했어요. 윤동주와 송몽규가 글을 편집하는 일을 맡기로 했고, 문익환이라는 친구가 원고 모으는 일을 하기로 했어요. 이렇게 명동소학교 5학년 학생들의 첫 번째 잡지 『새 명동』이 만들어졌어요. 『새 명동』에는 명동 학교에 대한 내용과 학생들의 문예 작품, 명동촌의 소식 등이 담겼어요. 비록 서울에서 발행되는 『어린이』에 비해서는 많이 부족하지만 윤동주를 비롯해 명동소학교 학생들에게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큰 보물이었답니다.
윤동주의 명동소학교 졸업사진
연세대학교 윤동주기념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