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궤

나라와 왕실에서 행사를 치를 때 만든 의궤

컨텐츠 정보

본문

조선 시대에도 국가적으로 큰 행사가 많았어요. 국왕이 혼인을 하고, 세자가 태어나고, 죽어서 장례를 치르는 것이 모두 중요한 일이었지요. 조선에서는 유교 전통에 따라 예법과 절차를 중요시했기 때문에, 각종 행사가 있을 때마다 의궤를 만들어 그 상세한 절차, 비용, 동원 인력 등을 세세히 기록해 두었어요. 물론 나라에서 성곽과 궁궐을 짓고 보수할 때에도 의궤를 제작했어요.


의궤란 ‘의식’과 ‘궤범(규범이라는 의미)’을 하나로 더한 말이에요.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의례 행사에서 본보기가 되는 규범’이란 뜻이지요. 그래서 ‘의궤’라는 말에는 후손들이 같은 행사를 치를 때, 이전에 만들어 놓은 의궤를 참고하여 실수 없이 행사를 치르라는 의미도 담겨 있어요.


또한 먼 훗날까지 예법에 맞는 올바른 절차를 생생하게 전하겠다는 마음도 포함되어 있어요. 국가의 큰 행사가 있을 때 이전에 만들어 놓은 의궤를 살펴보면 빠뜨리는 것 없이 잘 치를 수 있었겠죠?

한편, 국왕의 명령이 적힌 문서, 각 업무와 관련해서 관청이나 관리가 주고받은 여러 가지 문서도 의궤에 수록돼요. 또한 담당자와 행사나 건축 공사에 동원된 사람들의 명단, 사용된 물품의 수량과 비용 등도 의궤에 포함되지요. 뿐만 아니라 행사 후 남은 물건을 되돌려준 사실 등 시시콜콜한 것까지 들어갔어요.


의궤에는 글만 기록한 것이 아니었어요. 행사에 쓰이는 물품이라든지 공사에 활용된 기계를 그린 그림도 수록되어 있어요. 간혹 그림으로 된 행렬도가 그려지기도 해요.


이 행렬도를 반차도라고 말하는데, 반차도는 각종 국가 행사 때 관리들이 정해진 순서대로 행렬을 따라가고 있는 모습을 그렸어요. 의궤를 보면, 수십 쪽에 걸쳐서 반차도 행렬이 펼쳐지기도 해요. 반차도를 보고 있노라면 자신이 그 행사에 참여하고 있는 듯한 생생한 느낌을 받는답니다.



47c9d295d07e47f6362028b31bc47db0_1746592600_8711.JPG
정조 화성 행차 반차도

국립중앙박물관




위에 있는 반차도는 조선 시대 정조가 수원 화성으로 행차하는 모습을 그린 의궤의 일부입니다. 정조를 호위하고 따르는 문신 관리, 무신 관리 등이 상세하게 그려져 있죠? 이 반차도를 보면서 관리들은 자기 자리를 확인하고 예행연습을 했을 거예요.


의궤는 조선시대에 행해진 국가 의례, 건축 공사와 같은 큰 행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에요. 의궤를 보면, 당시 국왕의 결혼식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고 전쟁으로 파괴된 성곽도 원래 모습대로 복원할 수 있지요.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에는 의궤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어요. 지금부터 조선시대 의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까요?



47c9d295d07e47f6362028b31bc47db0_1746592645_4708.JP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