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픔을 잊기 위해 달리다
컨텐츠 정보
- 2 조회
- 목록
본문
이 사람은 바로 1936년 독일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우승을 차지한 손기정 선수예요.
그는 우리나라가 일제에 국권을 빼앗긴 후 2년이 지난 1912년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태어났어요. 손기정 집안은 찢어질 듯 가난했어요. 달리기를 잘했던 그는 배고픔을 잊기 위해 자갈길을 달리고 또 달렸어요.
“멋지다! 나도 스케이트 타고 싶다.”
그러던 어느 날 강 얼음 위에서 스케이트 타는 모습을 본 그는 스케이트를 타고 싶었어요. 하지만 가난한 그가 비싼 스케이트를 사서 타는 일은 꿈도 꿀 수 없는 일이었지요. 이후 그는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달리기를 더 열심히 했어요. 어찌나 빠른지 자전거를 탄 사람도, 어른들도 이겨내곤 했어요.
그러나 손기정의 어머니는 달리기하는 아들이 맘에 들지 않았지요. 그래서 신발도 헐거운 큰 고무신을 사주곤 했어요. 손기정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새끼줄로 고무신을 꽁꽁 묶고 달렸어요. 그의 어머니도 결국 학교 운동회 달리기에서 일등을 도맡아 하는 손기정을 본 뒤 생각을 바꾸고 응원하기 시작했어요.
당시 식민지 조선인 학생들은 보통학교(지금의 초등학교)를 졸업하면 대부분 집안 형편 때문에 일자리를 찾아 나섰어요. 손기정은 사정이 더 어려워 학교를 다닐 때부터 일했어요. 눈발이 휘날리는 겨울, 꽁꽁 언 손을 불어가며 군고구마와 군밤을 팔았어요. 허드렛일을 하고, 인쇄소에 취직도 했어요. 하지만 손기정의 손에 쥐어지는 돈은 얼마 되지 않았어요.
자전거와 경주하는 손기정
“이렇게 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운동도 제대로 할 수 없다면 나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안 되겠다. 일본으로 건너가야겠다!”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간 손기정은 낮에는 일하고, 저녁에는 운동했어요. 2년여 가량의 일본 생활은 생각보다 힘들었어요. 자신이 생각하던 모습도 아니었고요. 결국 손기정은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