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 팔만대장경판

세 번 절하고 한 글자를 새기며 만들다

컨텐츠 정보

본문

팔만대장경을 만드는 일은 하나하나 매우 어렵고 힘든 큰일이었어요. 수많은 불경을 정리하는 일부터 시작해 나라의 강력한 의지와 재정적 지원, 그리고 백성들의 단결된 마음이 없으면 불가능하였어요.


팔만대장경판은 나무로 만들었어요. 엄청난 양의 나무를 마련하여야 했고, 그것을 크기에 맞게 잘라 목판으로 만든 후 한 글자씩 새겨야 했지요. 나무는 세월이 지나면 벌레가 먹거나 습기에 썩어 훼손되어요. 이것을 막기 위해 팔만대장경판에 쓰이는 나무는 잘라서 바닷물에 3년을 담가 놓은 후 다시 소금물에 쪄서 사용했어요.


목판에 글자를 새기는 일은 여간 조심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어요. 자칫 한 글자만 실수해도 판 하나를 다시 새겨야 하니까요. 그래서 그들은 집중하기 위해 목욕하고 몸가짐을 가다듬은 뒤에 정성을 다하여 글자를 새겼어요. 그만큼 한 글자 한 글자마다 고려 사람들의 정성과 혼을 담아 만들었던 것이에요.


팔만대장경판은 경판 하나에 평균 한 줄에 14자씩 23줄을 앞뒷면에 새겼어요. 경판 1매당 644자를 새긴 꼴이지요. 이런 경판이 81,258매이니 경판 매수를 곱하면 글자 수는 무려 5,233만 152자가 되는 어마어마한 양이지요.

더 놀라운 것은 이 수천만 개의 글자가 모두 한 사람이 쓴 것 같이 모양도 고르고 오탈자도 거의 없다는 사실이에요. 또한 경전들의 내용을 일일이 비교해 가면서 잘못된 곳을 바로잡았기 때문에 내용도 정확하고 풍부하답니다.


글자를 다 새긴 다음에는 경판 표면에 옻칠을 해서 벌레 먹는 것을 방지하였어요. 또한 뒤틀림 방지를 위해 경판 네 모서리는 구리판으로 단단하게 고정하였어요.


팔만대장경판의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요?


경판 하나의 두께가 2.6~4cm로 팔만대장경판을 모두 쌓으면 약 2,400m가 넘어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산인 백두산의 높이가 2,744m인 것을 생각해보면 팔만대장경판의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겠지요.



c576e860eaf9f16140605cf6f2c77d1f_1747000265_0315.JPG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의 앞면과 뒷면

문화재청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