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지도

나무판에 지도를 새기다

컨텐츠 정보

본문

‘누구나 한 손에 들고 다니며 언제라도 원하는 고을의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를 만들 테다’


김정호는 늘 이런 생각을 했다고 해요. 그는 여러 번의 지도 제작 경험과 이전에 만들어진 지도들을 바탕으로 1861년(철종 12)에 〈대동여지도〉를 만들었어요. 〈대동여지도〉는 목판에 새겨서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찍어낼 수 있는 지도에요.


목판은 우리나라 전체의 모습을 남북으로 22개 층으로 나누어 제작되었어요. 각 층은 적으면 1면 많으면 18면으로 이루어졌어요. 22층의 지도를 다 펼치면 세로가 7m에 가까워요. 건물 3층 정도 높이에 이르는 엄청난 크기예요.


그러면 저렇게 큰 지도는 어떻게 갖고 다녔을까요? 각 지도는 분리되었어요. 필요한 부분의 지도만 갖고 다닐 수 있게 만들었던 거죠. 전라도를 갈 일이 있으면 지도의 전라도 부분만 접어서 들고 다닐 수 있게 만들었던 거죠.


자세한 내용을 담았지만, 휴대성도 놓치지 않으려고 했어요. 김정호는 〈대동여지도〉의 앞부분에 있는 「지도유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어요. 이 글을 통해 김정호가 지도를 만든 목적을 엿볼 수 있어요.

세상이 어지러우면

이 지도로 쳐들어오는 적을 막아

거칠고 사나운 무리를 제거하고,


시절이 평화로우면

이 지도를 나라를 경영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데 사용한다.


〈대동여지도〉의 또 다른 특징은 동국지도처럼 여러 시설을 기호로 표시했다는 것이에요. 예를 들면 관아, 창고, 역참, 산성 등을 기호로 표시한 것이죠. 다음은 〈대동여지도〉 중 제주도 부분의 지도에요. 이 지도에서 기호들은 각각의 의미가 있어요.



3235224eb038b74358a84e9961ee488c_1746689759_6949.JPG
대동여지도의 제주도 부분

문화재청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