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지도

조선, 다양한 지도를 만들다

컨텐츠 정보

본문

지도는 산, 들, 강처럼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모습과 도로, 성, 다리 등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만든 여러 건축물을 평면 위에 그림이나 선, 색 등을 통해 표현한 것을 말해요. 우리 조상들은 이런 지도를 아주 오래전부터 만들어 사용했어요.


『삼국사기』에는 고구려에서 지도를 제작했다는 기록이 있어요. 고려 시대에도 지도가 제작되었죠. 그러나 안타깝게도 두 시대에 만들어진 지도는 현재 전하지 않아요. 우리가 현재 볼 수 있는 지도는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죠.


조선은 나라를 세운 후 도읍을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겼어요. 조선의 지배층은 도읍뿐 아니라 지방 곳곳까지 왕의 명령이 전달되고 지방의 사정을 속속들이 아는 나라를 만들고 싶어 했어요. 그래서 각 지역의 모습을 상세히 알려주는 지도를 비롯해 기후, 교통, 생산물 등을 기록한 지리서를 많이 편찬했어요.


조선 시대에 최초로 만들어진 지도는 태종 때 이회라는 신하가 제작한 〈팔도도〉라고 해요. 이 지도는 고려 말에 있던 〈팔도지도〉를 보완해서 만들어졌지요. 하지만 이 지도도 전해지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전해지는 우리나라 지도 중 가장 오래된 지도는 무엇일까요? 바로 〈조선방역지도〉에요. 명종 때 제작된 지도로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빠져나갔던 것을 1930년대에 다시 찾아왔어요.



3235224eb038b74358a84e9961ee488c_1746689150_8066.JPG
조선방역지도

문화재청




조선 시대에는 우리나라 지도뿐만 아니라 세계지도도 만들어졌어요. 대표적인 것으로는 1402년(태종 2) 만들어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요. 이 지도는 우리나라와 중국을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일본, 서쪽으로는 유럽과 아프리카까지 그려 넣었어요.


당시 사람들이 알고 있던 구대륙 전체를 비교적 사실적으로 그린 지도이지요. 이를 통해 조선 초기의 지도 제작 기술 수준과 지도에 대한 국가의 큰 관심, 당시 사람들의 세계관과 공간 인식을 알 수 있어요.


조선 전기에 제작된 지도가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국가가 주도해서 주로 만들어졌다면 조선 후기에는 상업의 발달로 일반 사람들도 쉽게 쓸 수 있는 지도가 만들어졌어요. 개인이 만든 지도도 많았고요.


조선 후기 대표적인 지도로는 정상기가 만든 〈동국대지도〉, 김정호가 만든 〈청구도〉, 〈대동여지도〉등을 들 수 있어요. 그중에서 〈청구도〉는 전국을 바둑판처럼 만들고 한 면에 하나의 지도를 만들어 넣어 손바닥을 보듯 편리하게 만든 지도라고 해요. 〈청구도〉는 〈대동여지도〉를 만드는 데 바탕이 되었어요.



3235224eb038b74358a84e9961ee488c_1746689199_8718.JPG
청구도

문화재청




자 그럼,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대표적 지도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3235224eb038b74358a84e9961ee488c_1746689245_9108.JP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