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그리는 새로운 방법, 원근법
컨텐츠 정보
- 30 조회
- 목록
본문
“동쪽에 벽돌로 담을 정결히 쌓고 가운데 문 하나를 내었는데, 반만 열려 있어 문 밖의 집들이 은은히 비치었다. 하인을 불러 그곳을 물으니 하인이 웃으며 말하기를, 이것은 진짜 문이 아니라 담에 그림을 그린 것이라고 하였다. 내가 이상히 여겨 두어 걸음을 나아가보니, 과연 담에 그린 그림이고 진짜 문이 아니었다.”
중국 베이징 천주당(성당)에서 서양화를 처음 본 홍대용은 매우 놀랐어요. 홍대용은 원근법을 이용해 입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묘사한 그림을 진짜 모습으로 착각하기도 했어요.
원근법을 이용해 그린 개성의 모습
(강세황, 『송도기행첩』중 「송도전도」)
국립중앙박물관
전통적인 조선의 그림은 눈에 보이는 장면을 그대로 화폭에 그리기보다는 생각하는 것을 그렸어요. 반면에 서양 그림은 원근법을 이용하여 사물들의 위치나 모양을 보이는 그대로 그리고, 명암과 색을 이용 사실적으로 묘사했어요.
원근법과 명암을 이용한 서양화의 특징은 조선 그림에도 영향을 주었어요. 특히 사람의 얼굴을 그리는 초상화, 우리나라의 풍경을 있는 그대로 보고 그리는 실경산수화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어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