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과 도성을 세우고, 법을 만들다
컨텐츠 정보
- 21 조회
- 목록
본문
건국 이후 조선은 새 도읍을 건설했어요. 고려의 귀족들이 득실거리는 개경에서 벗어나 새로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였지요. 새로운 도읍지로 계룡산, 무악, 한양이 이야기 되다 최종적으로 한양으로 정해졌어요. 한양은 한반도 중심에 있고, 한강을 끼고 있어 교통이 편리한 곳으로 도읍지로는 안성맞춤이었지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외적을 방어하기에도 좋은 곳이었고요.
정도전이 설계한 한양 도성
태조는 정도전에게 종묘, 사직, 궁궐 등의 터를 정하게 했어요. 이후 궁궐이 지어지고 도성도 건설되기 시작했지요. 그리고 1394년 조선은 도읍을 한양으로 옮겼어요.
도읍은 유교 정신에 따라 건설되었어요. 남산을 바라보도록 경복궁을 짓고, 경복궁 왼쪽에 종묘를 세웠어요. 종묘는 조선의 역대 왕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제사는 유교에서 중요시한 효를 드러내는 예절이지요.
오른쪽에는 곡식신과 토지신에게 제사 지내는 사직단을 세웠고요. 토지와 농사를 중요시했음을 알 수 있지요.
한양을 둘러싼 산을 따라 성벽을 쌓고, 사이사이에 4개씩 큰 문과 작은 문을 만들었어요. 동쪽에 흥인지문, 서쪽에 돈의문, 남쪽에 숭례문, 북쪽에 숙청문(숙정문)을 두었지요.
새로운 궁궐이 지어지자 이성계는 정도전에게 다음 명령을 내렸어요.
“궁궐의 이름을 지어 우리 왕조가 오래도록 빛나게 해주시오.”
“전하, 오래도록 큰 복을 누리라는 뜻을 담아 경복궁이라 하면 어떻겠습니까?”
정도전은 궁궐의 이름을 지어 올렸어요. 이후 궁궐 건물의 이름도 하나하나 지었어요. 왕의 즉위식 등 국가의 중요한 의식을 치루는 중심 건물은 근정전이라고 했어요. ‘근정’은 부지런히 나라를 다스린다는 의미지요. 왕이 평상시 생활하며, 나랏일을 돌보는 곳은 사정전이라 했고요. ‘사정’이란 깊이 생각하여 나랏일을 하라는 뜻이지요.
경복궁
국사편찬위원회
정도전은 조선을 다스리는데 기본이 되는 법전인 『조선경국전』도 만들었어요. 조선 왕조를 다스리는 기준을 두루 담은 법전이었어요. 법전에는 ‘임금의 지위는 높다면 높고 귀하다면 귀합니다. 백성들은 무척 많은데, 한 번이라도 그들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면 크게 염려할 만한 일이 생길 것입니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어요. 백성이 나라의 근본임을 강조한 내용이에요.
정도전은 이후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며 나라를 다스릴 기반을 다져나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