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의 역사
컨텐츠 정보
- 1 조회
- 목록
본문
군산은 금강 하구와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자리 잡은 고장이다 보니 과거부터 교통의 요지였어요. 그래서 오랜 세월 전라도 호남평야에서 생산된 쌀이 군산으로 모였어요.
군산은 부산, 원산, 인천, 목포, 진남포, 마산에 이어 1899년에 개항되었어요. 개항은 항구를 열었다는 뜻으로, 외국의 배와 사람들이 항구를 드나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러한 이유로 군산은 일찍부터 외국의 근대 문물이 전해졌고, 외국인들도 자주 드나들었어요. 특히 많은 일본 상인들이 쌀을 사기 위해 군산에 모여들었어요. 한편 1910년에 대한 제국의 국권을 빼앗은 일본은 자기네 나라에서 쌀이 부족해서 쌀값이 급격히 오르자 한반도에 산미 증식 계획을 실시했어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이 계획은 한반도의 쌀 생산량을 늘려 많은 쌀을 일본에 보내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책이었어요. 산미 증식 계획이 실시되면서 쌀을 일본으로 보내는 주요 창구가 된 군산은 더욱 큰 항구 도시가 되었어요.
많은 일본인들이 모여들면서 군산에는 일본식 건물들도 많이 들어섰어요. 아직도 군산에는 당시에 지어진 일본식 집, 세관, 은행, 절 등이 남아 있어서 일제 강점기 군산항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