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자기의 시조가 된 이삼평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들도 산도 섬도 죄다 불태우고, 사람을 죽인다. 그리고 산 사람은 줄과 대나무 통으로 목을 묶어 끌고 간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인 승려가 쓴 글 속에 나오는 모습이에요.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은 전쟁에서의 성과를 쌓기 위해 죄 없는 조선의 백성들을 죽이고, 그들의 귀와 코를 베어 일본으로 보냈어요.
많은 백성들이 이유도 모른 채 죽어갔어요. 하지만 일본군은 조선의 도공만은 죽이지 않았어요. 일본의 우두머리였던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의 도공들을 잡아오라는 명령을 내렸기 때문이에요. 일본군은 붙잡은 도공들을 줄로 묶어 일본으로 끌고 갔어요.
일본으로 끌려가는 조선의 백성들
당시 일본은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부족했어요. 일본의 상류층은 질 좋은 도자기를 중국이나 조선에서 비싼 값에 수입해 사용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나무로 만든 그릇을 사용하고 있었어요. 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조선의 수많은 도자기와 함께 수준 높은 도자기 제작 기술 또한 훔쳐가고 싶었어요.
조선의 도공 이삼평도 전쟁 중에 가족들과 함께 일본으로 끌려갔어요. 일본 아리타 지방으로 끌려간 이삼평은 그곳에서 백토를 찾을 수 있었어요. 가마를 새로 짓고 백토를 이용해 도자기를 만들었어요.
그가 만든 백자는 질이 좋고 문양도 아름다워 일본 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었어요. 일본 영주들은 이삼평을 크게 아껴 많은 지원을 했어요, 이삼평의 자손들은 영주에게 관리들처럼 월급을 받아가며 도자기를 생산했어요. 이삼평이 죽자 일본 사람들은 신사를 짓고 그의 위패를 모셨어요. 그리고 그를 일본 도자기의 시조(도조)로 받들어 모셨어요. 이삼평의 후손들은 지금까지도 일본에서 도자기를 만들면 살고 있어요.
일본에서 인기를 누렸던 이삼평의 아리타 도자기는 규슈 지역에도 팔렸어요. 규슈 지역은 당시 다른 나라와 무역을 하던 곳인데, 이곳을 통해 도자기는 유럽으로 수출되었어요. 유럽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인도, 아프리카까지 수출되어 큰 인기를 누렸어요.
이때 인기를 끌었던 일본 도자기는 지금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좋은 도자기로 인정을 받고 있어요. 세계가 인정하는 일본 도자기에는 조선에서 끌려온 도공의 숨은 노력이 담겨있어요.
지금은 도자기가 흔하지만, 옛날에는 최고의 기술이 필요했던 산업이었어요. 박물관이나 주변의 도자기를 살펴보며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며 최고의 도자기를 만들고자 노력했던 조상들의 모습을 생각해보아요.
도조 이삼평 비(일본 사가현)
동북아역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