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와 백자의 특징을 모두 간직한 분청사기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분청사기는 청자를 만들던 흙으로 그릇을 빗고, 그 위에 백자를 만들 때 사용하는 백토를 발라 구운 자기를 말해요. 그릇에 백토를 바르는 것을 분장이라고 하는데, ‘흰색의 분장토를 입힌 회청색의 사기’(분청회청사기)를 줄여서 ‘분청사기’라고 불러요.
분청사기는 고려 말에 자기 만들 때 사용하던 여러 분장 방법을 따라했어요. 대표적인 것이 인화상감기법이에요. 이 기법은 청자를 만들 때 세밀하게 문양을 새기던 상감기법을 도장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문양을 찍는 방식으로 바꾼 것이에요. 여러 가지 문양을 하나의 그릇에 반복적으로 찍어 질서 있고 조화로운 문양의 그릇을 만들었죠(인화문).
인화상감기법
좀 더 자유로운 방식의 분장 방법도 있었어요. 백토를 바른 그릇의 표면에 칼을 이용해 문양을 새기거나(조화문), 산화철 성분이 들어있는 안료를 붓으로 직접 그리기도 했어요(철화문).
표면에 새기거나 붓으로 그리는 방법은 도장으로 문양을 찍는 방법보다 다양하고 대담한 표현이 가능했어요. 그래서 같은 문양이라 해도 지방마다 개성이 넘쳤어요.
조선 시대에는 가마의 온도를 더 높게 올리는 기술도 발전했고, 백토를 좀 더 손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어요. 그러면서 분장용으로 표면에만 사용되던 백토가 이제 몸통이 되어 그릇으로 만들어졌어요. 나라의 그릇으로 대접을 받던 분청사기는 점차 그 자리를 내어주고 백자로 바뀌어 갔어요.
분청사기 인화 국화무늬 병, 분청사기 조화 물고기무늬 편병, 분청사기 철화 연꽃물고기무늬 병
국립중앙박물관 , 문화재청,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