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직설과 삼강행실도

세종 때 편찬된 책, 농사직설과 삼강행실도

컨텐츠 정보

본문

조선 시대에는 수많은 책이 편찬되었어요. 특히 세종 때에는 나라를 다스리는데 필요한 여러 종류의 책이 만들어졌지요. 그중에서 여러분이 꼭 알아두면 좋은 책이 있어요. 바로 『농사직설』과 『삼강행실도』이지요.


두 책 중 먼저 편찬된 것은 『농사직설』이에요. 1429년(세종 11)에 만들어진 책이죠. 제목만 봐도 그 내용을 조금은 짐작할 수 있지요? 바로 농사와 관계있는 책이라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전에는 농사 책이 없었던 걸까요? 우리는 농업을 기반으로 살아갔던 민족이었기 때문에 농사 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았어요. 고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농상집요』라는 책이 있었어요. 『농상집요』는 중국 원나라에서 만든 책을 우리나라에서 다시 펴낸 것이에요.


이 책은 중국의 베이징 주변 지역에서 농사지은 경험이 주로 정리된 거예요. 주로 밭농사를 짓는 방법이 쓰여있어요. 이 책은 당시 최신 농업기술이 정리되어 있었지만, 우리나라 자연환경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었어요.

최신의 농업 기술 서적을 편찬하려는 노력은 세종의 아버지인 태종 때에도 있었어요. 『농상집요』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두로 번역하고 요약한 책을 편찬했어요. 하지만 여전히 이 책은 중국 농법을 정리한 것이었어요.


세종은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농사 책을 펴내기로 했어요. 우선 전국에서 농사가 가장 잘 되는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지방관에게 다음과 같은 왕명을 내렸어요.



각 지역에서 농사 경험이 많은 나이 든 농부를 찾아가 다른 지역에 알릴 만한 농사 기술을 조사하도록 하시오. 그리고 그 내용을 잘 정리해서 중앙에 보고하시오.


세종은 농사 전문가를 찾아 의견을 구하도록 한 거예요. 그렇게 해서 정리된 자료를 모아 1429년(세종 11)에 편찬한 책이 바로 『농사직설』이에요. 이듬해인 1430년에는『농사직설』을 여러 권 인쇄해서 중앙의 관리들을 비롯하여 각 도를 다스리는 관찰사, 군현의 수령들에게 나눠주었어요. 세종은 『농사직설』에서 소개된 농업 기술을 관리들이 먼저 파악하고 난 후 백성들에게 알기 쉽게 전해주기를 바랐던 거예요.

1434년(세종 6)에는 『삼강행실도』가 편찬되었어요. 『삼강행실도』에서 ‘삼강’이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의 3가지를 말해요. 말이 좀 어렵죠?


‘군위신강’은 왕과 신하가 지켜야 할 예절로 신하가 왕을 섬겨야 한다는 것이에요. 또 ‘부위자강’은 부모와 자식에 지켜야 할 도리로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해야 한다는 것이죠.


‘부위부강’은 부부 사이에 지켜야 할 예절이에요. 물론 유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예절이 이 세 가지만 있는 것은 아니에요. 여기에 친구 사이, 어른과 아이 사이에 지켜야 할 예절을 보태서 보통은 ‘삼강오륜’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해요.



3235224eb038b74358a84e9961ee488c_1746713185_0179.JPG
금부터 세종 때에 편찬된 『농사직설』과 『삼강행실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3235224eb038b74358a84e9961ee488c_1746713242_7107.JP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