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자의 신분으로 승려가 되다
컨텐츠 정보
- 1 조회
- 목록
본문
“왕자 아기씨가 태어나셨습니다.”
1055년, 고려 제11대 왕인 문종은 넷째 아들이 태어났다는 소식에 기쁨을 감추지 못했어요. 문종은 아이의 이름을 ‘후’라고 지었어요. 그가 바로 고려의 이름난 승려 의천이에요. 자라면서 여기저기서 총명하고 지혜롭다는 소리를 들었지요. 책을 보는 것을 좋아했고, 글도 잘 지었어요.하루는 문종이 왕자들을 불렀어요.
“너희들 중 누가 승려가 되어 부처를 공양하여 복을 받겠느냐?”
“제가 하겠습니다. 평소 저는 승려가 될 뜻을 품고 있었으니 아버님의 뜻을 따르겠습니다.”
문종의 말을 듣자마자 의천은 스스로 승려가 되겠다고 했어요. 그때 의천의 나이 11살이었지요.
고려는 불교의 나라라고 부를 정도로 불교를 중요시하고 또 많은 사람들이 믿었지요. 승려를 대상으로 실시한 과거시험인 승과도 있었지요. 그만큼 승려는 사회적으로 인정받았고, 사람들로부터 존경받았기에 많은 사람들이 승려가 되려고 했어요. 의천과 같이 왕자도 승려가 되었고, 귀족 집안에서도 이름 높은 승려들이 많이 나왔어요.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된 의천은 절에 들어가 불교 경전을 공부했어요. 늦은 밤까지 환하게 밝히며 쉬지 않고 열심히 공부했지요. 불교에 관한 책뿐 아니라, 유교 관련 책들도 두루 읽으며 점점 학문의 깊이를 더해갔지요.
승려가 된지 2년 만에 의천은 교종의 최고 지위인 승통이 되었어요. 그는 어떻게 어린 나이에 이렇듯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일까요? 의천 스스로 학문이 높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아버지 문종이 불교 세력을 통제할 수 있도록 의천을 승통 자리에 앉혔던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