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 독립 공원

옛 서대문 형무소에서 벌어진 갖가지 고문

컨텐츠 정보

본문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의 지하로 내려가면 예전에 있던 고문실을 재현해 놓은 곳이 있어요. 독립운동을 펼쳤던 애국지사와 광복 이후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체포된 사람들은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된 후 형무소 안에서 조사를 받았어요.

오늘날에는 경찰과 검찰에서 조사를 하고, 재판을 통해 형이 확정되면 교도소에 수감되어 형량대로 감옥살이 하는 것이 원칙이지요. 그러나 일제 강점기나 독재 정권 시절에는 형무소에 아예 조사실을 설치해 조사, 협박, 고문까지 자행했어요.


특히 일제의 고문은 상식과 상상을 초월했다고 해요. 당시 기록에는 ‘고문을 받은 독립운동가들은 신체가 부러지고 찢기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었고, 허파에 물이 차는 흉막염, 머리가 아프고 일부 기억을 잃어버리는 뇌진탕이 걸리는 등 갖은 고통에 시달려야 했다.’라고 씌어 있었어요.


또한 서대문 형무소에서 벌어졌던 물고문, 인두고문, 주리 틀기 고문, 벽관 고문(옴짝달싹 못하게 좁은 직육면체 나무 상자에 사람을 넣어 세워두는 고문) 등은 무어라 비판하기조차 끔찍한 비인간적 행위였지요.


더욱 기가 막힌 일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 경찰 하급 관리로 활동했던 친일파 한국인 경찰들 대부분이 광복된 이후에도 대한민국 경찰이 되었다는 사실이지요. 그들은 일본 경찰로부터 배운 고문 기술을 광복 이후에도 독립운동가 출신의 정치인, 사회운동가, 민주화운동가들을 대상으로 그대로, 아니, 더 강화된 기술로 괴롭혔어요.

이처럼 옛 서대문 형무소 건물은 독립운동가들은 물론 민주화 운동을 펼치다 잡혀서 감옥에서 옥살이를 했던 많은 사람들의 한이 서려 있는 곳이에요. 3·1절, 광복절 등 뜻깊은 날은 물론이고 휴일날에 시간을 내어 서대문 독립 공원을 찾아보면 어떨까요?


서대문 독립 공원을 둘러보며 그곳에서 고문받고 감옥살이를 하면서도 독립의 의지와 민주화의 의지를 굽히지 않았던 분들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 보아요. 또 그들이 간절히 이루고자 했던 나라의 모습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