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 독립 공원

경성 감옥에서 서대문 독립 공원까지

컨텐츠 정보

본문

서대문 형무소는 1908년 죄수들을 가두는 감옥으로 만들어졌어요. 당시에는 경성 감옥으로 불렸는데, 특히 일제 강점기에는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고문을 받거나 감옥살이를 한 악명 높은 곳이었지요.


일제 강점기에 이곳은 서대문 감옥으로 불리다가 서대문 형무소로 이름이 바뀌었어요. 광복 이후에는 서울 구치소가 되었다가 1987년에 서울 구치소가 다른 곳으로 옮겨가면서 빈 곳이 되었어요. 그러나 이듬해 역사적 가치를 인정 받아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지요. 이후 1992년 8월 광복절 제47주년을 맞아 ‘서대문 독립 공원’으로 문을 열었어요. 그리고 1998년 11월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으로 새롭게 단장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역사 학습 장소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어요.


“서대문 독립 공원에 가서 제일 먼저 살펴볼 곳이 어디일까요?”


“그곳에 가면 꼭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을 가봐야 해요.”



c888d33515da063a792bccac114bb583_1746504863_0757.JPG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에는 역사 전시관, 제 9~13 옥사, 추모비, 사형장, 지하 감옥 등이 있어요. 옥사는 1908년 설치 당시 약 500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었다고 해요. 일제 강점기에 전국 8개 감옥이 수용할 수 있는 총인원이 300여 명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서대문 형무소가 정말 엄청 큰 규모였다고 할 수 있죠.


게다가 1919년 3·1 운동으로 수감자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을 계기로, 1923년까지 대대적인 증축을 통해 2,500명 수용 규모로 확대되었어요. 다른 지역의 감옥에 비해 이곳이 왜 이렇게 컸던 것일까요?

그만큼 서울 지역에서 독립운동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했기 때문이지요. 또한 지방에서 잡힌 독립운동가들 중에서 주요 인물들이 이곳으로 보내지기도 했어요. 충청남도 천안에서 만세 운동을 펼치다 체포된 유관순 열사도 이곳 서대문 형무소의 지하 감옥에 갇혔어요.


서대문 독립 공원 안에는 감옥 외에도 순국 선열 추념탑이 있어요. 추념탑의 왼쪽에는 의병들이 일본에 맞서 무장 투쟁을 하던 모습, 유관순 열사의 만세 운동 모습 등이 새겨져 있어요. 그리고 추념탑의 오른쪽에는 우리의 국권을 빼앗기 위해 앞장섰던 통감부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사의 모습과 독립군의 승리 중에서 가장 큰 승리에 빛나는 청산리 대첩 등의 모습 등이 새겨져 있어요.


이처럼 서대문 독립 공원을 답사하다 보면 어려운 환경에서도 독립운동을 펼친 분들의 소중한 발자취를 느낄 수 있고, 또 나라 사랑의 의미를 다시 새겨볼 수 있어요.



c888d33515da063a792bccac114bb583_1746504932_8639.JP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