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일본군, 조선을 침략하다

컨텐츠 정보

본문

부산진성 전투 이후 조선이 일본군과 7년간 싸운 전쟁이 임진왜란이에요. 임진왜란은 일본이 ‘명을 치러 갈 것이니 길을 내달라’라는 이유로 조선을 침략해 시작된 전쟁이에요.


일본은 왜 이런 이유를 내세웠을까요? 15세기 중반 일본은 무로마치 막부가 무너지고 여러 세력이 나누어 싸우는 전국시대가 시작되었어요. 전국시대의 혼란은 100년 정도 이어졌는데, 16세기 후반에 일본을 통일한 사람이 등장해요. 그가 바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예요.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통일 과정에서 자신에게 불만을 가진 세력의 관심을 국외로 돌리기 위해 명을 치자고 했던 것이죠. 그러면서 명으로 가는 길을 내달라며 조선을 침략한 거예요.


1592년 4월 한반도에 상륙한 일본군은 부산진성 전투와 동래성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후 거침없이 북쪽으로 밀고 올라왔어요. 조선 조정은 신립 장군을 보내 이들을 막아보고자 했지만, 당시 최정예부대를 이끌던 신립 장군은 충주 탄금대에서 패배하고 말았어요. 일본군은 임진왜란이 시작된 후 20여 일 만에 조선의 수도 한성(한양)까지 함락시켰어요.

한성에 있던 임금 선조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신립 장군이 충주에서 패배했다는 소식을 듣고 피난길에 떠났어요. 선조는 개성, 평양을 거쳐 의주까지 갔어요. 그리고는 명에 사신을 보내 도와줄 군사를 보내 달라고 요청했어요.


조선은 임진왜란으로 큰 위기를 맞았어요. 그런데 조선은 전쟁에서 왜 이렇게 밀리기만 했을까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우선 조선은 1392년 건국 이후 별다른 전쟁 없이 평화로웠어요. 가끔 국경에서 여진족과 전투가 벌어지기는 했어도 크게 충돌하지는 않았어요. 조선 시대에는 고려 말기처럼 왜구 침략이 빈번하지 않았지요. 오히려 부산 등지에서는 일본과 무역하는 왜관이라는 공간이 있기도 했답니다. 하지만 일본과 크고 작은 충돌은 계속 이어지고 있었어요.


그런데 일본이 조총이라는 새로운 무기로 무장해서 침략한 거예요.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는 조총은 정말 무시무시한 무기였죠. 조선도 화약 무기가 있었지만, 전쟁 초기 군사력이 잘 갖추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어요. 특히 전쟁이 발생한 1592년에는 속수무책으로 패배를 거듭했어요.



3235224eb038b74358a84e9961ee488c_1746699377_7895.JPG
임진왜란 초기 일본군의 이동 경로와 격전지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