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수중 발굴, 신안선
컨텐츠 정보
- 1 조회
- 목록
본문
고려 시대 서해 바다에는 다양한 배들이 오갔어요. 옛날에는 화물을 옮길 수 있는 중요한 교통수단이 배였거든요. 세금으로 거두어들인 곡물을 비롯해 진귀한 물품을 운반하던 배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을 오가던 무역선도 있었지요. 하지만 배들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착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었어요. 많은 배들이 강한 비바람에 길을 잃고, 거친 풍랑과 암초를 만나 침몰하기도 했지요.
수백 년이 지나 고려 시대에 침몰한 배들이 하나둘 발견되기 시작했어요. 대부분의 배들이 부서진 상태였지만, 배 안에 실려 있던 다양한 유물과 기록을 통해 고려 시대에 조세를 어떻게 운반했는지, 당시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는지 알 수 있었어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수중 발굴이 이루어진 곳은 전라남도 신안군 앞바다였어요. 1976년에 이 바다에서 침몰한 배가 발견되면서 수중 발굴 조사가 시작되었지요. 배에서 나온 유물 등을 조사한 결과, 이 배는 1323년 중국 원나라에서 출발해서 일본으로 가던 무역선으로 밝혀졌어요. 그리고 배가 발견된 곳의 이름을 따서 신안선이란 이름이 붙여졌지요.
그런데 신안선은 왜 일본으로 가는 길이 아닌 신안 앞바다에서 발견된 것일까요? 아마도 일본으로 가는 길에 고려에 들러 필요한 물품을 구해 가거나, 쉬었다 가려던 게 아니었을까요? 배에서 나온 유물 대부분이 중국 도자기였지만, 전라남도 강진에서 만들어진 고려청자도 있었어요. 이를 통해 신안선이 고려에 들렀다고 짐작할 수 있었지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