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문화

발해 기와

컨텐츠 정보

본문

111acb7bfd29a6c777dacb3b5ca5c488_1746935734_5845.JPG
발해 수막새와 고구려 수막새

국립중앙박물관




왼쪽은 발해 기와(수막새)이고, 오른쪽은 고구려 기와(수막새)인데, 이 두 기와는 원 주위에 꽃잎이 둘러싼 형태가 닮아 있어요. 이처럼 발해의 기와는 무늬가 뚜렷하고 힘 있는 고구려 양식을 계승했다고 할 수 있어요.


한편 발해 기와의 무늬가 고구려 양식을 따랐다는 사실은, 건축물을 세운 장인(기술자)들이 고구려 출신이거나 고구려 후손들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말해주지요. 또한 발해 지배층이나 불교 사찰의 승려 가운데 고구려 계통의 사람들이 꽤 많았다는 것도 짐작할 수 있게 해줘요.


발해 상경성 유적에서는 10곳의 사찰터가 확인되었는데, 이중 두 곳의 사찰 터에서 귀면와(도깨비 얼굴 모양의 기와)가 각각 8점씩 출토되었어요. 건물의 추녀마루를 장식하는 기와로 사용된 귀면와는 대략 길이 33~34㎝, 너비 31~37㎝, 높이 23~27㎝이에요.



111acb7bfd29a6c777dacb3b5ca5c488_1746935767_9209.JPG
귀면와(중국 헤이룽장성 닝안 출토)

국립중앙박물관




귀면와의 모양을 보면, 모두 커다란 눈망울을 부라린 채 입을 크게 벌려 기다란 혓바닥과 툭 튀어나온 이빨이 드러나 있어요. 코는 입 위에 뭉툭하게 드러나 있고, 귀는 커다란 고리처럼 표현되어 있지요. 또한 뒤쪽으로 뿔처럼 생긴 갈기가 돋아 있어서 정말로 귀신이 얼씬거리지 못할 것 같은 사나운 모습이에요. 또한 전면에 녹색, 녹갈색의 유약을 바르고, 눈에는 갈색, 눈동자에는 녹갈색, 이빨에는 황백색, 입술에는 녹색유약을 발라 더욱 생동감이 있어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9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