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속 서역의 유물

최첨단 유리 세공 기술, 인면 유리구슬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컨텐츠 정보

본문

미추왕릉지구의 4호분에서 나온 ‘인면 유리구슬’의 크기는 1.8cm 정도에요. 놀라운 것은 빨간 입술에 푸른 눈썹과 눈을 가진 4명의 사람과 노란색 발을 가진 흰 새 6마리, 꽃이 핀 나무 4그루, 거기에 구름까지 담았어요. 작은 크기의 유리구슬에 이 많은 것들을 모두 상감 기법으로 담은 최고의 예술품이죠.


최첨단 유리 세공 기술을 사용한 이 인면 유리구슬은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전해져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유리 세공 기술을 알아보도록 해요.



3d11fdece4a3c1cd9b31a4bc9f4c8a09_1746883317_2695.JPG




 

로마는 얼굴 조각을 하나의 구슬에 녹여 붙이는 방법을 사용했어요. 이 기술을 배운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유리 막대에 여러 조각을 녹여 붙여 이를 잘라서 구슬을 만드는 방법을 생각해 냈어요. 로마의 방법보다 한꺼번에 더 많은 구슬을 만들 수 있었죠.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인도네시아 인면 유리구슬은 서역인의 무역선을 타고 신라에 올 수 있었어요.


작은 유리구슬 속에는 인류가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서로 교류했던 역사를 담고 있어요. 세계와 교류하면서 신라도 함께 발전할 수 있었지요.


기술 문명이 더 발달하면서 세계는 더 가까워지고 더 심하게 경쟁하는 세상이 되었어요. 세계 모든 인류가 함께 교류하고, 함께 성장하는 방법은 없을지 고민해 보아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