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속 서역의 유물

도로 공사 중 우연히 발견한 황금보검

컨텐츠 정보

본문

1973년 경주 대릉원을 정비하면서 주변의 계림로 도로 공사를 하고 있었어요. 이때 배수로 하수관을 묻기 위해 땅을 파던 중 작은 신라 고분 여러 개가 발견되었어요. 공사는 중지되고 박물관 직원들과 고고학자들이 나가 계림로 주변을 샅샅이 조사했어요. 그리고 수많은 유물을 발굴할 수 있었어요.


계림로 고분에서 발굴된 여러 유물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14호분에서 나온 황금보검이었어요. 지금까지 발굴된 신라의 유물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한 유물이었어요. 황금보검은 빨간색의 석류석과 유리로 상감한 태극문양으로 장식되었어요. 왕릉에서 발굴된 유리 제품이 있었지만, 당시 신라 사람들에게는 유리를 가공할 기술이 없었지요.



3d11fdece4a3c1cd9b31a4bc9f4c8a09_1746882713_9965.JPG
경주 계림로 보검(계림로 14호분)과 카자흐스탄 보로보에 보검 복원도

국립경주박물관




당시 학자들은 지금껏 본 적 없었던 황금보검에 대해 어떤 것도 말할 수가 없었어요. 황금보검이 출토되고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머나먼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에서 미스터리를 풀 단서를 찾았어요.

카자흐스탄에서 황금보검과 거의 똑같은 모양을 한 보검이 있었던 것이에요. 동유럽에서 생산되는 석류석을 이용했다는 점, 금이나 유리를 녹여 상감하는 방법 등 황금보검이 당시 중앙아시아에서 만들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카자흐스탄에서 만들어진 보검이 약 5,000km 정도 떨어진 신라에 어떻게 전해졌을까요? 보검의 주인은 신라 사람이었을까요? 아니면 신라에 정착한 서역인이었을까요? 황금보검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많은 미스터리를 갖고 있어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