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

거란 장수와 외교 담판을 벌이다

컨텐츠 정보

본문

서희는 고려의 대표로 거란군 진영으로 갔어요. 서희가 소손녕과 서로 인사를 할 때였어요. 소손녕은 서희에게 뜰에서 절을 하라고 요구하였어요. 그를 아랫사람으로 대우하겠다는 뜻이었지요. 이에 서희는 주저하지 않고 말했어요.


“뜰에서 절하는 것은 신하가 군주에게 인사하는 예법이오. 두 나라의 신하가 만나 인사하는 예법은 아니오.”


라고 하며 단호히 거절하였어요. 소손녕의 거듭된 요구에도 서희는 뜻을 굽히지 않았지요. 여기서 밀리면 협상에서 질 수 밖에 없다고 판단했어요. 결국 소손녕은 서희와 대등한 예를 행하고 서로 마주 바라보며 앉았어요. 소손녕이 먼저 말하였어요.



111acb7bfd29a6c777dacb3b5ca5c488_1746959687_5923.JPG
서희와 소손녕의 담판




“그대 나라는 신라 땅에서 일어났으니 고구려 땅은 우리 거란의 것이오. 그런데 그대 나라가 침범해왔소. 또 고려는 우리 거란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면서 바다 건너 송을 섬기고 있소. 이 때문에 지금 이렇게 군사를 이끌고 온 것이오. 그러니 만일 고려가 땅을 떼어서 우리 거란에게 바치고 우리와 교류한다면 물러날 것이오.”


이처럼 자기들이 고구려 옛 땅의 주인임을 내세우며 항복을 요구하였지요. 이에 서희가 대응하며 말하였어요.

“그렇지 않소. 고구려의 옛 땅이 곧 고려의 땅이오. 그래서 나라 이름도 고려라 하였고, 고구려의 도읍이었던 평양을 고려의 수도로 삼고 있소. 또한 그대 나라가 말한 국토의 경계로 따져 본다면 오히려 거란의 동경(지금 중국의 요양시)도 전부 우리 고려 땅이라 할 수 있소. 그런데 어찌 영토를 침범한 것이라 하시오.”


나라 이름을 고구려를 계승하였다는 의미로 고려라 정한 것과 서경이 고구려 옛 수도인 평양이었다는 점을 들어 고려가 진짜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라고 정면으로 반박하였던 것이지요.


이어 서희는 소손녕의 두 번째 요구에도 강하게 맞받아치며 말했어요.


“또한 압록강의 안팎 지역은 원래가 우리 고려의 땅이었소. 그런데 지금 여진족이 고려의 관리가 소홀한 틈을 타 몰래 이 땅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오. 더구나 여진이 완고하고 교활하게 길을 막고 있어 바다 건너 송과 교류하는 것보다 더 어렵소. 거란과 교류하지 못하는 것은 다 여진 때문이오. 만일 여진을 내쫓고 우리 고려의 옛 땅을 되찾아 성과 요새를 짓고 길을 열게 만들면 어찌 고려가 거란과 교류하지 않겠소? 장군이 만일 저의 말을 황제에게 전한다면 어찌 이러한 사정을 안타깝게 여겨 받아들이지 않겠소?”

고려에서 거란으로 가려면 압록강 일대를 거쳐야 했죠. 그런데 이곳에 여진 부족들이 살고 있어 장애가 되고 있기 때문에 그동안 고려가 거란과 교류하지 못한 것이라 주장했죠.


그리고 만일 압록강 일대의 여진을 몰아내고 성을 쌓아 길을 낸다면 거란과 교류하겠다고도 했죠. 즉 여기 압록강 동쪽의 땅을 고려의 것이라 인정한다면 고려도 송과 관계를 끊고 거란과 교류하겠다고 한 것이지요.



111acb7bfd29a6c777dacb3b5ca5c488_1746959859_0583.JPG
서희의 귀환




서희의 말하는 기세가 매우 당당하고 일리가 있어 소손녕은 더 이상 강요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어요. 이 정도면 고려가 거란을 위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 소손녕은 이러한 사실을 거란의 황제에게 보고하고 허락을 받았어요.


그리고 마침내 소손녕과 거란군은 물러나면서 서희에게 낙타, 말, 양, 비단 등의 선물을 주어 돌려보내죠. 거란 진영으로부터 외교 담판에 성공한 서희가 돌아오자 성종은 강나루까지 나아가 맞이할 정도로 크게 기뻐하였지요.


다음해 994년 서희는 거란으로부터 소유를 인정받은 압록강 동쪽에서 여진을 몰아내고, 새로 성을 쌓아 고려의 영토로 삼았어요. 이 지역을 ‘강동 6주’라고 불러요. ‘강동’은 압록강 동쪽을 뜻하고, ‘6주’란 당시 고려의 행정구역 중 하나였던 ‘주’가 6개(흥화진·용주·통주·철주·귀주·곽주)란 뜻이에요. 거란의 속사정을 꿰뚫어 본 서희의 외교 담판으로 고려는 강동 6주라는 새로운 땅을 얻은 셈이죠. 또 서희의 활약 덕에 고려는 오랜 바람인 압록강까지 진출하게 되었답니다.


서희는 무력이 아닌 말로 큰 싸움 없이 외적도 물리치고, 게다가 고려의 영토도 넓힐 수 있었어요. 서희의 말에 이런 힘이 실린 까닭은 무엇일까요? 말이 갖는 힘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아요.



111acb7bfd29a6c777dacb3b5ca5c488_1746959898_3839.JPG
강동6주와 천리장성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