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제우, 용담정에서 깨달음을 얻다
컨텐츠 정보
- 1 조회
- 목록
본문
1824년 어느 날 경주 구미산 아래 작은 시골 마을에 한 아기가 태어났어요. 이 아이가 누구일까요? 바로 용담정 스승님이라 불리는 최제우에요.
최제우의 집안은 유학자 집안이었지만, 아버지가 벼슬을 하지 못하여 생활형편이 어려웠어요. 최제우도 집안을 위해 생계를 도와야 했지만 총명했기 때문에 유학과 역사를 공부할 수 있었지요.
그러나 17세에 최제우에게 큰 시련이 닥쳤어요. 존경하고 따랐던 아버지가 그만 돌아가신 거예요. 슬픔과 아픔이 매우 컸어요. 더구나 농사일도 전혀 몰라 살길이 막막했어요.
“그래! 생계를 위해 일단 돈을 버는 거야.”
그에게 공부는 더 이상 사치에 불과했어요. 전국 방방곡곡을 떠돌아다니며 장사를 시작했어요. 하지만 장사의 운이 없었는지 돈을 모으지는 못했어요. 이로 인해 최제우는 의술이나 점복술을 접하기도 했고, 무술을 익혀 무과에 응시하려고도 생각했어요. 유학을 공부한 선비로서 이익을 위해 다투는 일들이 힘들기만 하였지요. 마음마저 허전하였어요.
“에휴~ 내가 할 줄 아는 게 공부밖에 없는데…”
하지만 살기 위해 떠돌아다니면서 그는 세상의 많은 것들을 보고 들었어요. 특히 서양 세력이 청을 침략하고 그들이 믿는 서학이 들어와 세상을 어지럽히는 것을 보았지요.
“세상 돌아가는 게 뭔가 이상해. 유학의 가르침도 더 이상 통하지 않고 있어! 사람들의 마음이 변했어.”
최제우는 큰일이다 싶었어요.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했지요. 비록 경제적으로 몰락한 양반 신세지만, 유학자로서 백성들의 고통을 그냥 대수롭게 보아 넘길 수가 없었거든요.
그는 깊은 산 암자에서 명상과 독서, 기도를 하였어요. 이때 자신의 이름도 ‘어려움 속에 빠진 어리석은 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에서 성묵에서 ‘제우(濟愚)’로 바꿨어요.
그러던 1860년 4월 어느 날, 그는 특별한 종교적 체험을 하게 되었어요. 마침내 깨달음을 얻은 것이지요.
“난 더 이상 예전의 내가 아니야. 한울님을 만났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