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민왕

고려, 원의 간섭을 받게 되다

컨텐츠 정보

본문

1231년 고려는 또다시 외적의 침입을 받아요. 이번에 쳐들어 온 외적은 몽골이죠. 고려는 강화도로 수도를 옮기면서까지 몽골군에 맞서 저항했지만 계속되는 몽골군의 공격에 고려는 그만 강화를 맺고 말았어요(1259년). 이때부터 고려는 몽골이 중국 땅에 세운 ‘원’의 간섭을 받게 되요. 원 간섭기에 고려의 왕조는 유지되고 있었지만, 고려 스스로 정할 수 있는 게 별로 없었지요.


원은 고려의 동북쪽에 관청(쌍성총관부)을 설치해 직접 다스렸어요. 고려 영토 일부를 원에게 빼앗긴 것이죠. 또 고려 국왕도 원에 의해 결정되었어요. 죽은 후 짓는 왕의 이름도 원에 충성한다는 뜻으로 ‘충’자를 붙여 직접 지어서 주었지요(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 등).


더 큰 문제는 원이 고려에 수시로 각종 공물을 보내라는 요구였어요. 그때마다 힘없는 고려는 어쩔 수 없이 원의 요구를 들어주어야 했고, 고려의 살림살이는 매우 어려워질 수밖에 없었어요.


공물보다 더 슬픈 것은 공녀였어요. 당시 부모들은 자신들의 딸이 공녀로 몽골에 끌려가지 않게 하려고 열 살도 되지 않은 어린 딸을 혼인시키기도 하였지요.

한편 고려 안에는 이러한 원의 막강한 힘을 등에 업고 권력을 휘두르는 지배층들이 생겨났어요. 이들을 ‘권문세족’이라 불러요. 권문세족은 대농장을 중심으로 부와 세력을 키웠어요. 그들의 횡포로 나라의 곳간은 비어갔고, 백성들의 삶은 더욱 힘들어졌어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6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