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

잘못 알려진 비석의 실제 주인공을 알아내다

컨텐츠 정보

본문

1816년 무더위가 한창이던 7월 한여름, 서른한 살의 젊은 선비 김정희와 그의 친구는 북한산에 올라갔어요. 그들이 도착한 북한산 비봉 정상에는 비석 하나가 서 있었어요. 그때까지 이성계가 조선을 세울 때 큰 역할을 한 승려 무학대사가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던 비석이었지요. 김정희가 비석에 덮여 있는 이끼를 걷어내자 희미하게 글자가 보이기 시작했어요.


“이보게. 친구! 이것은 무학대사가 세운 비석이 아닌 것 같아.”

“그럼 누구의 비석이라는 말인가?”


“신라의 진흥왕이 세운 비석이라네.”



47c9d295d07e47f6362028b31bc47db0_1746584991_7721.JPG
서울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와 탁본

국사편찬위원회




놀랍게도 그것은 신라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그 일대를 둘러본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었어요. 1,250여 년 만에 신라의 진흥왕 북한산 순수비가 그 실체를 드러낸 순간이었지요.

그리고는 북한산 순수비의 옆면에 “이것은 신라 진흥왕이 세운 비이다. 병자년(1816년) 7월 김정희가 와서 비문을 읽었다.”는 기록을 남겼어요. 또한 그 옆에 “정축년(1817년) 6월 8일 김정희, 조인영이 함께 남아있는 글자 68자를 조사하여 정하였다.”라고 기록했어요.


북한산 순수비의 발견을 계기로 김정희는 옛 비석을 찾아 전국을 돌아다녔어요. 그리고 오래된 비석의 글씨를 탁본해서 그 속에 담긴 이야기와 역사를 알아냈어요. 이를 통해 책으로는 알 수 없었던 옛날 역사의 빈 부분을 알 수 있게 되었어요. 그래서 우리 조상의 삶을 더욱 다양하게 알 수 있게 되었어요. 또한 김정희는 비석에 새겨진 다양한 글씨체도 연구했어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 / 1 페이지
RSS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