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국력을 약하게 만든 무역품
컨텐츠 정보
- 2 조회
-
목록
본문
삼국을 통일하고 전쟁이 없는 평화 시기를 맞이한 신라는 세계와 교류하며 더욱 발전해 갔어요. 하지만 장보고가 활동했던 시기를 전후해 신라에 큰 위기가 닥쳤어요. 그것은 수십 년간 계속된 가뭄과 흉년이었어요. 흉년으로 곡식 수확량이 크게 줄었고, 굶주림에 시달리던 백성들은 산으로 들어가 산적이 되고, 바다로 나가 해적이 되었어요.
빈곤한 백성들이 늘어가며 사회는 혼란스러워졌어요. 이에 반해 귀족들은 백성들의 삶을 외면한 채 자신들의 욕심대로만 살았어요. 귀족들은 국제무역을 통해 신라에 들어온 진귀한 물건에 빠져 사치와 향락을 일삼았어요.
귀족들의 사치품 중에는 당에서 온 비단이나 도자기뿐만 아니라 공작 꼬리와 물총새의 털로 만든 목도리, 에메랄드와 바다거북 등껍질로 만든 빗, 침향과 자단과 같은 고급 나무, 향신료 등 동남아시아와 서역에서 온 것들도 많았어요.
바다거북 등껍질로 만든 장식빗
한국학중앙연구원
백성이 사치와 호화를 다투어 오직 외래 물건의 진기함을 떠받들고 도리어 우리 것을 혐오한다. 이로써 예절이 무시되고 풍속이 쇠퇴하고 있으니 고의로 법을 어기는 자가 있으면 형벌이 있을 것이다.
흥덕왕은 사치품에 빠진 귀족들에게 교서를 내려 조심할 것을 당부했어요. 임금이 교서를 내릴 만큼 사치품에 빠진 귀족들은 신라를 위태롭게 만들었지요. 일반 백성들은 먹을 게 없어 굶주렸지만, 귀족들은 자신들의 사치를 위해 농민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걷고, 땅을 빼앗아 자신의 농장으로 만들었어요.
귀족들의 수탈과 비참한 생활에 불만을 품은 많은 농민이 전국에서 난을 일으켰어요. 농민들의 난은 결국 신라의 멸망으로 이어졌어요. 신라 멸망에는 백성들의 삶을 외면한 귀족들의 사치스러운 생활이 중요한 원인이 된 것이죠.
청해진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와 교류하며 신라는 크게 번성하였어요. 하지만 백성들을 생각하지 않는 귀족들의 사치로 신라는 쇠퇴하게 되었죠. 세상의 모든 나라와 자유롭게 교류하는 지금, 우리나라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어떤 길을 가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