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짓기를 고민하다
컨텐츠 정보
- 1 조회
- 목록
본문
신석기 시대 초기에는 사람들은 여전히 동굴에서 살기도 했어요. 그런데 매번 사냥하기가 쉽지 않았어요. 겨울엔 나무 열매 구하기도 어렵고요. 강가에는 물고기 등의 먹을거리가 많지만, 동굴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불편했어요. 또 동굴은 불을 피워도 바닥이 너무 차가웠어요.
“벌써 며칠째 아무것도 잡지 못했으니 걱정이야. 내일은 멀지만 물고기를 잡으러 강가에 가보아야 하겠어.”
“물고기를 잡기 쉬운 강가에 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신석기 사람들은 고민하기 시작하였어요. 강가에 동굴은 없었어요. 그리고 바닥이 차갑고 어두운 동굴이 이제는 싫었어요. 그들은 궁리 끝에 여기 강가에 동굴을 만들기로 하였어요. 강도 가깝고 햇빛도 잘 들고, 추위를 막아 주며 불안에 떨지 않고 잠을 잘 수 있는 공간을 말이지요. 바로 인류 역사상 집이 탄생하는 순간이지요.
신석기 사람들은 어떻게 집을 지었을까요? 그 질문의 실마리는 서울 암사동 유적을 통해 알 수 있어요. 한강과 가까운 암사동에서 둥글게 혹은 네모나게 땅을 파낸 수십 개의 흔적이 발견되었지요. 이 흔적들이 바로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집터였어요.
서울 암사동 유적에서 발견된 신석기 사람들의 집은 ‘움집’이었어요. 움집은 어떤 집일까요? 움집에서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생활하였을까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