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한은 1926년 10월 가족과 함께 식민지 조선으로 돌아왔어요. 미국에서 가져온 50만 달러의 재산으로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가 미국에서 약을 수입해서 판매하는 회사인 유한양행을 차렸어요. 당시 많은 사람들이 전염병과 기생충, 피부병 등으로 고생하는 모습을 보았던 유일한은 다음과 같이 생각했거든요.‘건강한 국민, 병들지 아니한 국민만이 주권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유일한은 서재필이 선물로 준 목판화의 버드나무를 유한양행의 심볼로 삼았어요. 유한양행은 미국에서 피부약, 결핵약, 구충제 등을 수입해서 병원에 판매했어요. 뿐만 아니라 안티푸라민과 같은 약도 만들었어요. 평소 유일한은 다음과 같은 마음으로 기업을 경영했어요.‘기업은 개인의 것이 아니라 사회와 종업원의 것이다.’‘기업에서 얻은 이익은 그 기업을 키워 준 사회에 환원하여야 한다.’유일한은 이러한 생각을 실천하기 위해 1939년 11월 24일 유한양행을 주식회사로 바꾸고 주식을 종업원들에게 나누어 주었어요. 또 새로 공장을 지을 때 종업원들을 위한 기숙사, 운동장, 수영장 등을 함께 만들었어요.1930년대 유한양행은 국내뿐만 아니라 만주와 중국, 베트남 등에 물건을 수출하며 그 규모가 점점 더 커졌어요. 유일한은 1938년 4월 사업을 더욱 키우기 위해 유럽과 미국을 돌…